5화 광부게임은 플레이어들의 진면목이 그대로 드러난 회차였다. 팀전을 가장한 개인플레이가 필요한 메인메치는 플레이어들이 얼마나 영리하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렸다. 플레이어 수가 10명 이하로 남은 게임 중반부터는 확실히 개인적 능력에 따라 당락이 결정된다고 보면되는데, 이런 분위기를 확실하게 파악한 플레이어는 장동민과 오현민 두 명 뿐이었다. 지니어스에서 중반까지 살아남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자신의 뛰어난 두뇌를 활용해 견고한 연합을 구축한 뒤 리더로서 활약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리더를 지원하는 형태로 유리한 플레이어와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게임 자체를 완벽하게 플레이할 자신이 없다면 빠르게 리더를 찾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른바 . 지니어스에 나오는..
더 지니어스3가 점점 더 재미있어지고있다. 어떻게 활용될지 아직은 예측이 불가능한 블랙가넷은 다다익선이기에 플레이어들의 심리전쟁을 유발시키는게 좋은 아이템으로 작용한다. 또한 시즌1과 시즌2에서 매번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가넷 활용'이 초반부터 시스템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가넷은 더 이상 우승했을 때 상금으로 받을 '돈'의 역할만 하는게 아니다. 게임시작 전, 게임 도중, 플레이어와의 거래를 통해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판도를 뒤집거나 위험할 때 살아날 수 있는 히든카드다. 시즌 3 블랙가넷의 3화 는 사실 개인의 능력보다 연합을 위한 게임이다. 절대 다수를 자기편으로만 만들 수 있다면 데스매치에 진출할 확률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게임은 생명의징표가 없고, 데스매치 지목이 제외된, 달리기의 1등..
최근 더지니어스2 룰브레이커와 관련해서는 별로 할 말이 없다. 더지니어스라는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메인메치나 데스메치 역시 이슈거리없는 그저 그런 게임들로 평범하게 이어나가고 있고, 떨어질 사람이 떨어지고 남아 있을 사람이 남아있는, 단어 그대로 미지근한 상황들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지니어스 시즌1 게임의 법칙 출연자들 일부가 게스트로 출연하여 함께 게임을 진행했다. 시즌1에서 의미있는 캐릭터를 보여준 성규를 비롯하여 최정문, 차유람, 김경란, 최창엽, 이준석이 그들이다. 7화에서 더지니어스의 아이콘이자 가장 지니어스 다웠던 홍진호가 탈락하고 이어진 8화에서 연예인 연합의 행동대장인 노홍철이 탈락하면서 이제는 연합이 아닌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해야 될 타이밍이 왔다. 5인이 남은 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