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아파트 아일랜드 상판 단차 하자보수 받은 후기(실제 경험)

반응형

주방 아일랜드 상판에 단차가 발생했고 연결부 실리콘이 탈락했다

내가 지금 살고있는 아파트 하자보수 업체에서는 내가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상당히 적극적으로 하자보수를 제공해주고 있는 듯 하다. 보통은 자꾸 세월아네월아 미루거나 일반적으로 잘 안해주려고하는 곳들이 많다보니까 오히려 이렇게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주는게 어색한 상황이다. 이제 연차가 쌓여서 기본으로 해주는 하자보수 기간이 거의 끝나갈 무렵이기 때문에 마무리 제공을 끝까지 해주는 것 같다. 그래서 지금 살고있는 아파트의 브랜드에 대한 인식은, 적어도 나에게는 굉장히 좋은 편이다.

지금 받는 하자보수들의 경우, 내가 직접 하자를 신청한게 아니라 이전에 살던 매도인께서 하자보수 신청을 했었던 내역들이다. 꼼꼼하게 어느정도 신청해두신 것 같아서 나의 경우 그냥 가만히 앉아서 그냥 하자보수를 받기만 하는 그런 느낌이다. 이번에 하자보수 받은건 주방 아일랜드 상판 단차 하자였다. 4월이었나 5월에 한 번 연락을 받았었는데 그날 날짜가 안맞고 출장 때문에 집을 비워두고 있었어서 날짜를 잡지 못했고 이번에 다시 날짜 잡아달라고 연락왔길래 날짜 맞춰서 오늘 받았다.

하자보수 과정을 적극적으로 해주는건 좋은데... 날짜 맞추는게 힘들어서 좀 까다롭다. 하자보수 업체에서 내 일정에 맞춰주는게 아니라, 내가 하자보수업체 일정에 맞춰야한다...ㅎ 다들 그렇게 하니까 그런가보다~하고 있고, 어쨌거나 하자보수를 먼저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주는 것에 감사(?)하고 있다.

처음 이사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2번인가 3번인가 하자보수를 받았다. 대체로 경미한 하자들이었고 큰 문제가되는 부분들은 없었어서 사실 하자보수 안받고 살아도 관계없을 수준이긴했지만 일단 받고나면 확실히 더 낫긴 낫다...ㅎ 이번에는 주방쪽 아일랜드 상판에 단차가 발생하고 단차로 인해서 실리콘 연결부가 탈락되어 있는 하자가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 하자보수를 오늘 받게 되었다. 

 

주방 전체에서 아일랜드 상판의 연결부위가 2곳이 있는데 싱크대 바로 옆 연결부에서 한쪽이 들뜸이 있었다. 처음에 실리콘이 발라져있던걸로 미루어볼 때, 최초 시공시에는 단차가 없었거나 아주 경미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데 실사용 과정에서 단차가 발생하면서 가운데 발랐던 실리콘들은 거의 다 떨어져나가게 되었고 그 틈 사이로 물 같은게 계속 들어가다보니 곰팡이가 약하게 슬게 되어 조금 신경쓰이는 부분이었다. 

나는 개인적으로는 단차가 있는건 그렇다고 치고 살아도 되는데, 사이로 물이 들어가서 곰팡이 생기면 나중에 골치아픈 문제들이 많이 발생할 것 같아서 이 부분은 꼭 해결은 하고 싶었고 하자보수 업체에서 하자보수를 못받을 경우에는 셀프로 직접 실리콘을 처리하려고 생각은 하고 있었다.

직원분 말씀으로는, 이런 연결부로 물이 계속 들어가고 곰팡이가 생기고 하다보면 하부장이 나무로 돼 있기 때문에 하부장쪽에도 나중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하였다.

 

오늘 하자보수 업체 직원분께서 오셔서 이리저리 막 만지고 툭툭 치더니 얼추 단차 맞추고 새롭게 실리콘도 발라주었다. 눈으로 보기에도, 손으로 만져보기에도 지금은 단차가 거의 없는 듯 하다.

이음부에 실리콘이 발라져있었던걸로 미루어볼 때 처음에는 단차가 없었을걸로 추측되는데 왜 단차가 발생했을까에 대해서 직원분께 물어보니,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반응형

첫번째는 아일랜드 상판 자체의 미세한 두께 차이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한다. 두번째는 상판은 관계없는데 상판 아래에 연결된 하부장에 짐을 넣고 생활하며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게에 눌리면서 한쪽에 내려가게 되어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나의 경우 하부장에 엄청나게 무거운 뭔가를 보관하지는 않았는데 조금 의아하긴 했지만, 이 부분이 가장 설득력있는 이유라고 생각했다. 이외에는 별다른 이유를 상상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아일랜드 상판 단차 맞추는걸 보게 되었는데 하자보수하는 과정에서 몰랐던걸 알게됐다...ㅋㅋ 알고보니 하부장과 상판이 연결된 방식으로 만들어져있었고 천장 부분은 없었어서 아래에서 위로 툭툭 치거나 위에서 밑으로 상판을 툭툭 쳐서 높이를 맞출 수 있는 듯 했다.

전체 구조도를 보면 위 그림처럼 돼 있다. (직접 AI로 만든 구조도 그림이다.)

여기에서 싱크대쪽과 상판의 구조를 안쪽에서 보게되면...

대충 위 그림처럼 돼 있다. 근데 이게 싱크대쪽은 이렇게 돼 있어서 싱크대 하부장에서 엎드려 들어가서 위를 보면 상판을 볼 수 있는데, 다른쪽은 하부장 위가 막혀있어서 다른쪽 이음부에는 접근이 어려웠고 직원분께서도 그렇게 설명해주셨다. 그런데 싱크대가 아닌 쪽은 단차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 사실 관계없다.ㅋㅋㅋ 

 

단차 거의 없게 만들어주고 실리콘도 새로 작업해주셨다. 주방 아일랜드 상판 단차 하자보수 받기 완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