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에서 삼성증권으로 달러 이체하기

반응형

키움증권에 있는 달러를 삼성증권으로 이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일단 제일 먼저 키움증권에서 달러 USD가 예수금이 잡혀있는지 확인해준다. [잔고]에서 [예수금]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이제 키움증권에서 삼성증권으로 달러 이체를 들어가면 되는데 이때 외화가상계좌를 사용하므로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

준비물

  • 키움증권 외화가상계좌
  • 삼성증권 외화가상계좌
  • OTP

이렇게 3가지를 미리 준비해주면 된다.

반응형

키움증권 외화가상계좌 확인

일단 키움증권에서 외화가상계좌를 확인한다

키움증권 전체 메뉴에서 [업무] - [외화이체(타사)등록/조회]에서 [외화가상계좌 등록/해지]메뉴에서 확인해주면 된다. 예전에 신청한적이 있다면 국민은행으로 된 가상계좌번호가 나타날 것이고 아닐 경우 신청해서 만들면 된다. 키움증권에서는 국민은행을 외화가상계좌 은행으로 쓰고 있다.


삼성증권 외화가상계좌 확인

다음으로 삼성증권 외화가상계좌를 확인해준다.

삼성증권 메뉴 검색창에 '가상'이라고 검색하면 [외화가상계좌등록]메뉴가 나타나고 여길 클릭해서 들어간다. 미리 신청한적이 있다면 가상계좌번호가 나오는데 삼성증권으로 도착하게끔 달러를 이체할 생각이므로 여기에서 나오는 외화가상계좌번호가 매우 중요하다. 삼성증권은 우리은행을 외화가상계좌번호를 내는 은행으로 사용한다.


키움증권에서 삼성증권으로 달러 이체하기

이제 다시 키움증권으로 되돌아와서 이체를 시작한다.

[외화이체(타사)] 메뉴에서 입금 기관을 [은행][우리은행]으로 선택한다. [외화이체(타사)] 메뉴가 떠 있는지 확인한 후 영문계좌명과 출금가능외화, 출금가능금액과 출금금액 등을 지정한다. 아래쪽에 [지정계좌] 버튼을 클릭해보면 우리은행의 외화가상계좌가 미리 등록돼 있을 경우 지정계좌에도 나타나서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출금 정보를 확인해주고 비밀번호와 OTP 번호를 입력한 후 완료하면 된다. 이렇게하면 삼성증권에서 다시 입금내역을 볼 수 있으며 예수금 조회시 출금가능금액 USD로 확인할 수도 있다. 수수료가 없으므로 투자자로서 사용하기 괜찮은 방법처럼 보인다.

 

삼성증권 알림톡에서도 외화입금내역을 알려주기 때문에 더욱 확인이 쉽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