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귀신 쫓기 옛 사람들은 장례식에는 항상 귀신이 많다고 생각했다. 그도 그럴것이 장례식 자체가 이미 죽은 고인을 기리는 의식이기 때문이다. 고인의 영혼이 차려놓은 음식을 먹고 방문하는 사람들을 구경하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고 여겼다.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현대시대에도 장례식만큼은 사람들이 북적대고 떠들석해야 고인이 편하게 하늘로 올라간다는 인식이 있다. 인간이 사후세계를 인식하게 되면서 생긴 장례식은 사람 눈에 보이지않는 어떤 존재를 생각하게한다. 이후 장례식에는 귀신이 있다는 것으로 연결된다. 의식의 중심이되는 고인 뿐만 아니라 고인의 친구라던지 고인의 부모형제, 근처를 떠돌아다니는 잡귀 등이 모두 장례식에 모여든다. 장례식엔 음식이 있고 그리운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사람이..
책을 볼 때, 공부를 할 때, 필기를 할 때 등 책이나 공책을 펼쳐진 상태로 자리를 비우면 안된다. 가령, 한창 책을 읽다가 화장실에 가고싶은 경우 책을 덮어놓고 화장실에 다녀와야한다. 책을 펼쳐놓은 상태로 자리를 비우게되면 책에서 알 수 없는 좋은 기운이 모조리 빠져나가버린다. 공부했던 대부분의 기억들이 머릿속에서 사라지게된다. 그래서 잠깐이라도 자리를 비울 때면 항상 책을 덮어놓아야한다. 책갈피나 책의 날개 부분을 적절히 활용하면 읽던 부분부터 다시 읽을 수 있다. 책을 펼쳐놓고 돌아다니면 책 속의 내용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책은 읽을 때를 제외하면 언제나 덮여있어야한다. 그것을 보는 사람이 없을 때엔 절대로 펼쳐놓아서는 안된다. 만약 자리를 비웠는데 책이 펼쳐져 있다면 활자중독에 걸린 귀신이 돌아다니..
귀신날 정월대보름 다음날. 음력으로 1월 16일이 바로 귀신날이다. 이 날에는 정월대보름에 뜬 달과 비슷한 크기의 달이 뜬다. 귀신날에는 유독 달이 밝게 빛나며 길거리를 환히 비춘다. 귀신날에는 1년 중 최고로 많은 귀신들이 돌아다니는 날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외출을 삼가야한다. 다른 사람의 집에 방문하는 것도 자제하는게 좋은데, 다른 사람의 집에 갔다가 그 집의 귀신을 자기 집으로 데리고 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일을 하지 않고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게 좋다. 부득이하게 외출을 했다면 해가 떨어지기 전에 복귀해야한다. 달이 뜨면 귀신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외출 후 대문을 통과하기 직전에 입구에서 수건이나 걸레 등으로 온 몸을 가볍게 털어 혹시나 붙어있을지 모를 귀신을 떼어..
회화나무는 옛부터 선비나무 또는 학자나무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유례있는 품종이다. 벼슬을 했던 집에서만 키울 수 있었으며, 평민들의 집에서는 키울 수 없었다. 현존하는 사원, 향교, 마을 등의 초입에 회화나무가 있는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회화나무가 잡귀를 쫓는 나무이기 때문이다. 회화나무 특유의 냄새와 모양새를 잡귀가 싫어하는 탓에 감히 접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뻗어나가는 모양이 직선적이면서도 구불구불하고, 크게 자라며, 천년 이상을 거뜬히 살 수 있기 때문에 선비의 기개와 포부를 나타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하지만 경상북도 안동에서는 잡귀를 쫓는 회화나무에 귀신이 들었다. 시내 방면에서 안동댐으로 향하는 길목에 커다란 회화나무가 한그루 서있다. 왕복 2차선 도로 중앙선 자리에 떡하니 버티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