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데본씽크(Devonthink)인가? 데본씽크를 문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도구로만 생각하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정보 및 자료관리 측면에서 문서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데본씽크를 활용하면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을 할 수 있다. 데본씽크로 할 수 있는 것들 자료 분석 자료 체계화 자료 찾기 자료보관 문서 편집 특히 자료찾기 기능은 데본씽크를 따라올자가 없다 할 만큼 매우 강력한 기능이다. 자료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정확도는 높아진다. 여기에서는 자료 분석과 자료 찾기에 주목하자. 일반 유저들이 사용해야 할 주요 기능은 자료를 보관하고 그 자료들을 분석해서 원할 때 원하는 항목을 찾아 이용하는 것이니까.쉽게 말해 데본씽크를 통해 강력하면서도 유연하게 자료들을 정리하고 체계화..
DevonThink(이하 DT)에서 웹페이지를 캡쳐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나 자주 쓰이는 것은 아마도 Bookmarks와 Web Archives 인 것 같은데요. 이 방법은 웹 페이지 전체를 스크랩하는 방법인데, 사용자에 따라 가끔 or 자주 웹 페이지 중 일부분만을 캡쳐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데본씽크에서 제공되는 링크나 애드온즈를 사용해서 클리핑 할 수 있습니다만... 이 경우 전체 페이지를 북마크하거나 클리핑할 수 밖에 없는데, 작은 수의 클리핑이라면 괜찮습니다만, 많은 양의 다양한 데이터를 클리핑 하기엔 전체 페이지를 모두 클리핑 하는것은 그다지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더군요. 위 이미지처럼 웹 페이지 중 일부분만을 드래그하여 해당 부분만 따오고 싶을 때..
데본씽크(DEVONthink)는 일반 텍스트, 서식형 텍스트(RTF), PDF와 MAC OS X 및 QuickTime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파일포맷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왠만한 파일포맷은 다 지원된다고 보면 됩니다. 거의 알려지지 않은 어떤 특수한 파일포맷은 지원되지 않을지 모릅니다만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대부분의 파일포맷이 지원이 됩니다. 아쉽게도 한국에서만 많이 쓰는 .hwp인 한글파일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지원되지 않는다고 하는것은 파일 자체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게 아니라 미리보기나 텍스트 추출 같은 DEVONthink의 고유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 어떤 파일포맷이든 DEVONthink에 넣고 관리할 순 있습니다. 이번에 DEVONthink에서 어느정도의 범위까지..
유비쿼터스 세상입니다. 네이버 N드라이브, 다음 클라우드, 드롭박스, KT 유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등등... 클라우드 서비스만 잘 활용해도 몇 백GB는 확실하게 무료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제가 학생 때, 전공수업에서 배운 '유비쿼터스'라는 개념은 매우 모호하고, 현실성이 거의 없는... 그러한 아주 먼 미래였으나 지금은 절반 이상 현실이 되었습니다. 당장에 지금 제가 신고 있는 나이키 운동화에도 아이폰에 연결할 수 있는 칩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칩과 아이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하면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니까요. 자료를 제대로 관리해보고자 데본씽크를 사용한 이후로 점점 더 편리해짐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저는 집에서는 아이맥, 회사나 외부에서는 맥북을 쓰고, 사무실에서는 PC를 씁니..
데본씽크를 활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미리 결정해야 할 사항은 딱 2가지 입니다. 첫번째로, Index 방식 or Import 방식, 두번째로 단일 DB or 복합 DB가 그것인데요. Index or import는 이전글([Devonthink pro] 데본씽크 인덱스(Index) or 인서트(Insert) ??)에서 포스팅 하였습니다. 오늘은 단일 DB or 복합 DB 를 결정하여 데본씽크의 DB를 최적화하는 내용입니다. 데본씽크 퍼스널 버전이 아닌 pro 이상 버전에서는 복합 DB로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DB에는 얼마든지 많은 용량의 자료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단일 DB냐, 복합 DB냐의 문제는 다분히 개인적인 성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데본씽크를 사용하는 가장 큰 ..
데본씽크는 다 좋은데, 아직까지 한국에서 사용하기에 걸리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HWP 파일포맷이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한글파일(HWP)같은 경우 해외에선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반면, 국내에선 아주 흔하게 사용되는 파일포맷이기에 한글파일 호환성이 MAC OS X 사용자들 중 데본씽크 유저들에게 망설임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한국의 의지인.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공되지 않으니, 정석적인 방법이 없는 상태이므로 약간은 우회적인 방법으로 한글파일을 데본씽크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MAC OS X 라이언 이후에는 PPC(PowerPC) 시스템은 돌아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전까지 그나마 MAC OS X 유저들에게 숨통을 틔어주던 맥용 한글2006조차 작동하..
데본씽크를 사용하면서 개인 DB의 폴더 트리 구조를 구축하는것 외에, 데본씽크를 사용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결정해야 할 사항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단일 DB or 복합 DB 2. Index or Insert 단일 DB로 운용할것이냐 아니면 복합 DB로 구분해서 사용할 것이냐는 나중에 차차 적어보기로 하고... 이번에는 Index 와 Insert 의 차이점과 어떤 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먼저 데본씽크에서 기능하는 2가지의 방법은 다음의 프로세스처럼 작동합니다. Index : 자료는 하드디스크에 그대로 있는 상태이며, 데본씽크 DB와 연결만 해두는 상태입니다. 즉, 자료는 하드 어딘가에 위치해 있으나, 그 폴더를 뒤져가며 직접 찾는것이 아니라 데본씽크에서 검색 등을 이용하여 한 곳..
이전글([Devonthink pro office] 데본씽크프로 자료수집 및 문서 정리 관리하기)에서 말한것처럼, 저는 데본씽크 프로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자료 및 데이터를 관리중입니다. 이전까지는 유명한 에버노트 및 여타 다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산발적으로 정리하고 있었는데요. 이번에 데본씽크로 넘어오면서 차근차근 데본씽크 DB에 정리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데본씽크와 에버노트를 같이 쓰는 경우도 있지만, 저처럼 에버노트를 주력으로 사용하다가 데본씽크로 넘어온 경우에는 에버노트의 노트를 데본씽크로 가져올 필요성을 느낍니다. 그래서 방법을 연구하던 중 에버노트에 PDF로 내보내기 라는 기능이 있는것을 발견하고 환호성을 질렀죠. 에버노트 노트를 데본씽크로 import 하는 방법 중에서는 가장 깔끔하고 편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