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2023년 상반기 부가세 신고를 하였습니다. 부가세 금액의 경우, 제가 지난번에 블로그에 포스팅했던 것처럼 개인사업자 부가세통장을 증권사 발행어음형 CMA로 재테크 투자를 할 수 있다면, 소액이라도 부가세 금액 자체를 이용해 약간의 이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올해부터 저는 이렇게 관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원래 평소에는 그냥 일반 통장에 돈을 넣어두고 그냥 묵혀두고 있었는데, 어떤 책을 읽다가 부가세 통장 관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서 올해부터 이렇게 하고 있는데요. 개인사업자 부가세통장을 CMA로 소액 재테크하는 방법은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해주세요. 개인사업자 부가세통장을 증권사 발행어음형 CMA로 재테크 투자하기 개인사업하시는분들은 부가세 적립을 어떻게 관리하시는지에 따라 관리 방법이 나뉘는..
매년 7월은 개인사업자 부가세신고 기간입니다. 2021년 전반기의 경우 7월 안에 신고하는게 낫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해서 신고하시면 됩니다. 부가세는 국세인데요. 종합소득세 신고에 비하면 누워서 떡먹기 수준이라 개인사업자분들이 셀프로 신고하기에도 어렵지 않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해보면서 어떻게 하는지 개인사업자 부가세신고 방법 알려드립니다. * 7월 15일~20일 사이에 신고하는걸 추천합니다. 일단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로 가세요. 사업자분들은 친해져야하는 홈페이지입니다. 자주 찾는 메뉴에서 부가가치세 신고 버튼을 클릭하세요. 로그인을 필수적으로 해줘야하므로 로그인 해줍니다. 2021년 1기, 그러니까 2021년 전반기 부가가치세 신고의 경우 7월 26일까지 완료지어야 하는데요. 보통 마지..
2021년 부가세 신고 시즌이 다가왔다. 개인 사업자는 세금 낼 때 마다 진짜 다리가 후들거릴 수 밖에 없는데 부가세의 경우에는 그래도 조금 나은게 어쨌든 매출에 따른 부가세 금액이니까 편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전년도 반기 매출에 따른 부가세를 한꺼번에 내야해서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는게 사실이다. 2021년 1월 13일부터 자료를 조회할 수 있어서 13일에 바로 부가세 신고 후 납부하였다. 올해는 코로나 등으로 인해 개인사업자의 경우 2월까지 부가세 납부를 연장해준다는 공지를 본적이 있는데, 어차피 내야할 금액이고, 당장 2월까지 마땅한 수입이 없을 전망이라... 그냥 바로 납부했다. 매입이 많지 않고 인적 용역을 제공하는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부가세 부담이 조금 더 있는 편인 듯 하다. 아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