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수익의 커미션은 대게 비율의 개념과 단가의 개념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링크프라이스 같은 제휴프로그램은 비율로 커미션을 지급한다. 즉 상품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특정 %를 지급한다는 의미다. 반면에 단가의 개념은 정해진 금액을 커미션으로 주는 형태다. 물론 몇몇가지 예외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비율개념으로 지급하는 커미션은 단가 자체가 낮고, 단가개념으로 지급하는 커미션은 금액 자체가 높다고 가정하겠다. 이 비율과 단가의 개념은 수익금에 있어서 엄청 중요하다. 왜냐하면 비율개념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현재 커미션의 가치를 유지하려는 성격이 있지만, 단가개념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커미션이 하락하는 효과를 가진다. 왜냐하면 국가 인플레이션 및 예금이자 등 경제학적인 시각으로 볼 때 단가가 고정되..
트위터 또는 미투데이만 해도 용돈 벌 수 있을까요~? 소셜네트워크가 인기를 얻으면서 그에 따른 수익모델도 있습니다. 여러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초보분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애드얌을 소개해 드립니다. SNS 수익모델 애드얌 회원가입 하기! 애드얌 (http://www.adyam.kr)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 수익금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상황에 대비하여 주민등록번호는 필수인것 같습니다. 회원가입 정보입력 후 트위터 계정을 연결해야 합니다. ( 회원가입 완료 후 나중에 '정보수정' 에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정보수정' 에서 수익금을 수령할 계좌번호를 입력해야되는데, 나중에 수익금이 쌓인 뒤, 수령할 때 입력해도 됩니다. 퍼블리셔 활동으로 용돈 벌기! 회원가입과 트위터계정 연결..
블로그 운영으로 매년 억대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을까? 즉, 블로그 만으로 먹고 살 수 있을까? 너무나도 매력적으로 들리는 이야기이다. 블로그만 운영하여 지금처럼 충분히 먹고살 수 있다면 당장이라도 그 해법을 알고 싶어진다. 이 책에는 프로블로거들의 블로그 수익 노하우, 블로그의 운영기획, 마케팅과 프로모션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외국인이니 딴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등잔밑이 어둡다고 가까이에 있는 이웃 '머니야 머니야' 님의 이라는 책도 비슷한 주제를 다룬 도서이다. 머니야 님은 국내에서 프로블로거로 불리기에 전혀 손색이 없다. ( 한RSS 구독자 수만 1100명이 넘는다 ;;;; 머니야님의 블로그를 가보면 카운터 숫자는 명성만큼 높지 않은데, 아마도 RSS로 구독하는 분들이 많기 때..
티끌모아 태산입니다 여러분~~ 제가 요즘 CPM 모델을 .. 마치 배고픈 하이에나 처럼 찾아다니고 있는데, 애드젯에는 CPM 모델이 있습니다. ▣ CPM 모델이란? CPM 수익모델이란, 쉽게말해서 노출하는 만큼 수익금을 지급한다는 뜻입니다. 구글 애드센스를 비롯해서 여타 다른 광고는 방문자가 클릭을 해줘야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CPM 모델은 클릭을 하던말던 노출만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죠. 따라서 방문자가 많지않은 초보블로그는 광고클릭을 유도하기가 쉽지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더 좋습니다. 애드젯에는 위젯을 이용하여 수익모델 배너를 자신의 블로그에 부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초보블로그 이기 때문에, 사이드바에 CPM 배너를 부착해 두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주로 위와같은 배너들이 노출..
블로그마케팅에 새로운 사이트가 생겨났습니다. 2011년 새해를 맞아, 새롭게 출발한 블로그마케팅 사이트가 있네요~ 바로 아이블로거 (http://www.iblogger.co.kr) 라는 곳입니다. 블로그마케팅을 주로 하는 아이블로거는 (주)소셜커뮤니케이션 에서 운영하는 서비스 입니다. 상호명을 저는 자세히 보았는데, 현재 전해지는 '소셜' 자체의 의미에는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관계. 그러니까 relationship 만 있는건 소셜이 아니겠지요. 이렇게 되면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단어조합이 어색하게 느껴져서 한동안을 고민해 보았는데, 결국에는 제 나름대로 " 커뮤니케이션을 커뮤니케이션하다 " 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 이게 뭐냐구요? 흠... 예를들면, "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