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몇 년 동안 군림했던 SNS의 왕관은 다시금 블로그로 회귀하는 듯한 분위기다. 아, 물론 여전히 SNS는 강력하고 또 파워풀하다. 마케팅이든 일상이든 그 외 다른 특정 목적을 달성할 필요가 있을 때, SNS는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빅데이터 시대, 그리고 콘텐츠의 세상에서 SNS만으로 콘텐츠를 운영하고 소통한다는 것은 한계에 다다른 것 처럼 보인다. 여전히 블로그에서 많은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고, 검색은 여전히 가장 뛰어난, 그리고 유용한 서비스다. 얼마전 티스토리 초대장을 왕창 배포하고 나서 들었던 생각은 '다시금 블로그로 회귀하는 듯한 물결'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물결은 마치 연어가 고향으로 되돌아 오는 듯한 느낌이었다. 잠시 외면받았던 블로그 스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메일을 지겹도록 보게 될 것이다. 요즘은 대학생들같은 학생들도 이메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는 세상이다. 특히나, 귀농한 농부나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제발 좀(이건 부탁이다) 이메일 관리에 신경을 써주면 좋겠다. 가능하다면 이메일 관리에 관련된 강의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청강하길 권해주고 싶은 심정이다. 그만큼 이메일로는 엄청나게 많은 일들을 해낼 수 있는 시대니까.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대도시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이메일 선호도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진다. (아, 물론 이것은 평균치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이지, 대도시라고 해서 별반 다르지도 않다.)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하루에도 수십통이 넘는 이메일을 관리하느라 진땀을 빼는 경우가 많다. 업무를 이메일 ..
소장용으로 구매해서 읽는책이 좋은점은, 블로그에 서평을 남길 때 시간제약이나 압박이 없다는것이다. 충분히 읽고 곱씹고 검토하고 생각을 정리한 뒤에 설을 풀 수 있는것은 매력적이다. 피터 드러커를 맹신하는 경영자가 있는 기업에서는 그의 경영 방식을 고스란히 흡수해서 자신의 회사에 주입시켰다. 이 방식은 최근까지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피터 드러커 자신은 '경영 구루'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조직을 관리하고 인재를 확보하고 회사의 모든 프로세스를 정립하면서 경영을 하는것이 그 방식이다. 한마디로 처음부터 끝까지 경영자가 관리를 하는 것. 모든것을 체계화시키고 수치화 시키고 데이터로 뽑아내서 가시적인 성과를 올리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경영방식이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시간은 모든것을 변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