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칼럼이 실린 16년 하반기호가 나왔습니다 은 (사)경북북부권문화정보센터에서 배포하는 문화정보잡지입니다. 1년에 두 번 나오는데 각계각층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분들의 멋진 글을 볼 수 있습니다.컬처라인에는 다양한 코너가 있는데요. 지역의 역사와 인물을 알아보는 것을 비롯해 지역 연극에 대한 이야기, 만화 읽기 코너, 생활문화 이야기, 스토리가 있는 문화탐방, 종가 이야기 등입니다. 저는 여기에서 박물관 탐방 코너를 맡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안동민속박물관을 취재하였고 해당 글을 실었습니다. 멋진 사진과 유익한 글이 가득한 매거진이라서 경상북도의 구석구석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네요.
[기획 취재]52년 만에 고향을 찾은 국보 하회탈, 안동민속박물관 기획전시 이 글은 컬처라인 문화포커스 2016년 하반기호 기고문 입니다. 내 또래 아이들은 안동민속박물관 앞 잔디밭을 기억할 것이다. 안동의 국민학생이라면 누구나 소풍을 갔던 장소니까. 요즘 초등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과 유투브를 보며 시간을 보낼 때, 우리는 그 곳에서 수건돌리기나 보물찾기 따위를 하며 하루를 보냈다. 단 한번도 보물을 찾은적은 없지만, 박물관을 주변을 뛰어다니는건 즐거웠다. 서른줄 청년도 아련한 추억의 장소로 삼는 안동민속박물관은 1992년 6월 26일에 개관했다. 경북 북부지역을 대표하는 가장 오래된 공립박물관 중 하나다. 안동문화권의 민속문화를 조사·연구·보존·전시하고, 시민들과 여행객들에게 관련 정보와 민속문..
안동 하회탈을 담은 이색 우산, 소옥 고급 우산 요즘 우산은 비를 피하는 기능과 함께 패션 아이템으로도 인기입니다. 여행지나 나들이 장소에서 멋진 우산을 펼쳐 사진을 찍으면 인생샷을 건질 수도 있지요. 저도 좀 색다른 우산이나 이색 고급 우산에 관심이 있었는데, 지금껏 계속 몇 천원짜리 싸구려 우산만으로 다녔네요. 그러다가 이번에 안동 하회탈을 담은 이색 우산인 소옥 우산을 하나 구매했습니다.세계유네스코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에선 하회탈을 담은 이색 우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소옥'이라는 브랜드의 고급 우산인데요. 하회마을이 있는 풍산쪽은 안동 시내보다 비가 좀 더 많이 오는 편이고 하회마을 자체에 그늘이 많이 없어서 우산은 거의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사계절내내 우산이 필요한 곳이 또 하회마을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