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NAS DS415+ 초기 세팅하기(NAS 운영체제 DSM 설치) 시놀로지 NAS에 하드디스크를 삽입하고 공유기에 연결, 부팅까지 끝마친 하드웨어 세팅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소프트웨어적인 세팅을 해주어야합니다. 초기에는 아무런 데이터와 체제가 없으므로 NAS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게 해 줄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하는데요.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DSM(DiskStationManager)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일입니다.운영체제 설치라고해서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DSM은 윈도우나 MAC OS X같은 PC운영체제보다 훨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니까요. 게다가 시놀로지의 한글화와 인터넷 지원이 잘 마련되어 있어 상당히 경쾌한 느낌으로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DSM 설치하기 저는 아이맥 5K와 시놀로..
시놀로지 NAS DS415+에 하드디스크 설치 세팅하기 시놀로지 NAS를 사용할 때 준비물은 하드디스크를 제외하면 없습니다. 즉, NAS 기기와 하드디스크만 준비해두면 준비물은 완료인 셈이죠. 이제 나스에 하드디스크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랜선과 파워를 연결한 다음 공유기와 연결하여 부팅만 해주면 당장이라도 나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우선은 하드디스크 설치입니다. 나스와 하드디스크를 준비해주세요. 2베이 제품에는 최대 2개까지 들어가고, 4베이 제품에는 최대 4개의 하드가 들어가는데요. 시놀로지 DS415+는 4베이 제품입니다만 우선은 2개만 삽입해봅니다. 먼저 트레이에서 하드디스크 케이스를 빼냅니다. 누구나 쉽게 손으로 쏙 뺄 수 있습니다. 폴 버튼을 살짝만 열어주면됩니다. 시놀로지 나스 제품에 포함되어있..
나만의 저장소를 갖다, 개인용 클라우드 시놀로지 NAS DS415+ 컴퓨터로 대부분의 업무를 진행하는 요즘에는 데이터와 저장공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데이터의 관리와 보관, 공유에 대한 접근성과 안전성이 담보되어야하고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중요한 문서나 사진, 영상, 디자인 파일이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해 사라지는건 상상조차 하기 싫은 상황인데요. 이러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국내/국외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죠.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KT의 유클라우드, 네이버의 N드라이브(네이버 클라우드로 최근 이름이 바뀌었네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무료로 일정 용량에 대해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