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소식] 봉화농업기술센터 아마도 올해 봉화농업기술센터에서의 마지막 교육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블로그가 아닌 모바일 활용 강의입니다. 강의 주제 : 농업경영 마케팅, 6차산업 강소농을 위한 모바일 활용 교육 강사 : 작가 남시언 대상 : 봉화 군민 中 신청자 장소 : 봉화농업기술센터 전산교육장 강의 횟수 : 총 6회(주 3회씩 2주간. 월,화,수) 강의 시간 : 14:00 ~ 18:00(하루 4시간) 이번 강의는 6회차 커리큘럼입니다. 일주일 5일 후 다음주 1회 하기가 애매해서 주 3회씩 2주동안 진행될 예정입니다.이번에는 주로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을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고객과 소통하고 질문/답변 시스템 구축, 당장 전화기로 전락하기 직전인 스마트폰에서 다양한 앱들을 이용하고, 클라우드 사..
[강의 후기] 강소농 역량강화 SNS 스토리텔링 기초반 - 문경농업기술센터 강의명 : 강소농 역량강화 후속교육 SNS 스토리텔링 기초 주관 : 문경농업기술센터 문경농업기술센터에서 2015 강소농 역량강화 후속교육 일정이 7월부터 8월까지 이어졌고, 그 중 마지막 커리큘럼으로 제가 강의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전체 교육내용을 살펴보니 컴퓨터 수업 뿐만 아니라 사업계획서 쓰기 등 실제 도움이 되는 부분이 가득해서 상당히 좋은 교육일정이었다는 생각입니다.이번 강의에선 담당자님과 문경농업기술센터에 미리 채용되어 있는 보조강사님이 많이 수고해주셨습니다. 안동에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문경농업기술센터입니다. 연일 폭염주의보와 특보가 떨어진 무척 더운 날씨였습니다.아무래도 휴가철이고 농번기라서 많이들 바쁘셨을거라..
[강의 후기] WEB 2.0과 소셜미디어 활용 전략 - 남부지방산림청 강의 제목 : WEB 2.0과 소셜미디어(SNS)활용 전략 강의 주관 : 남부지방산림청 강의 일시 : 2015년 5월 11일(월) 10시 ~ 2시, 5월 18일(월) 10시 ~ 12시 - 총 2회 4시간 남부지방산림청은 경북 안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산림청장님께서도 대단한 열의를 가지고 강의에 참여해 직원들을 격려하고 함께 공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는데요. 보통 기관장이라고하면 뉴미디어(new media)에 대해 무지하고 꽉 막힌 사람으로 비춰질 수 있는데, Gmail이라던지 페이스북의 세부적인 기능까지 파악할만큼 오픈마인드를 지닌 분이셨습니다. 덩달아 직원들도 함께 활기찬 분위기였습니다.이번 강의는 소셜미디어 활용법 이었습니다. 블로..
빙글(Vingle)을 메타블로그와 포스트 발행 SNS로 활용하기국내 최대 메타블로그 서비스였던 다음 뷰(DaumView)가 종료함에 따라 기존 메타블로그 개념이 SNS로 옮겨갔습니다.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블로그와 SNS를 연계하는 방향으로 활용하며, 페이스북 같은 경우에는 블로그 이름을 딴 페이스북 페이지를만들어서 활용하기도합니다. SNS를 아무리 잘 활용한다고해도 SNS 특성상 범위의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블로그와 SNS를 동시에 운영하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기에, 메타블로그의 향수가 남아있는데요. 이런 메타블로그 및 블로그 포스트 발행 SNS로 활용하기 좋은 커뮤니티 플랫폼 빙글(Vingle)을 소개해드립니다.빙글엔 콘텐츠에 관해 별다른 제약사항이 있는게 아니라서(예를..
SNS 중에서도 facebook은 정말 많은 이용자 층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구들과 공유하기가 쉽고, 재미가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서비스인데요. 페이스북의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자신의 블로그나 사이트 등에 페이스북으로 곧장 공유가 가능한 댓글 창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그거 뭐 별 거 있겠어?' 같은 생각 때문인지 페이스북의 파괴력을 간과했던 것인지 아니면 잘 몰라서였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던 방법이었습니다만 요즘에는 거의 왠만한 사이트에는 대부분 페이스북 댓글 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오히려 없는 곳을 찾기가 힘들 정도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특히나 콘텐츠 중심의 사이트(블로그, 뉴스 플랫폼 등)에서는 거의..
다음과 티스토리 블로그를 서비스하고 국내 최대 메타블로그를 함께 서비스하던 다음커뮤니케이션은 2014년 4월 30일 다음뷰(Daum View)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다음뷰는 2005년 초창기 '블로거뉴스'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2009년에 다음뷰로 서비스명을 변경, 2014년까지 지원되던 메타블로그 서비스였다. 예전부터 다음뷰 폐지설이 나돌긴 했었고, WEB 2.0을 넘어 3.0으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 그리고 사람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블로그 이용패턴이 과거와는 달라진 오늘날 메타블로그 서비스의 존재 이유 자체가 의문스럽다는 견해도 있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는 다음뷰 서비스를 종료하면서도 Daum 메인페이지에 블로그 글 등록 및 새로운 추천 버튼 등 좀 더 아날로그 틱하고 편리해진 시스템을 이용..
티스토리 블로그 메뉴바에 SNS 아이콘 추가하기 : Skeleton 반응형웹(모바일 포함) 티스토리 블로그 반응형 스킨인 Skeleton 에서는 티스토리 자체에서 제공하는 상단메뉴바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HTML로 제작된 메뉴바를 사용합니다(티스토리 제공 상단 메뉴바는 메뉴바로서 심플한 기능을 제공해주지만 사용자가 마음껏 기능 디자인을 할 수 없는 것은 단점입니다). 이에따라 사용자 입맛에 맞도록 자유롭게 무언가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는데요. 많이들 사용하는 SNS 아이콘을 설치하여 블로그 방문자에게 자신의 SNS를 소개하고 링크하여 개인 브랜드화에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해보겠습니다. Note 반응형 웹을 사용하는 티스토리 스킨에서는 접속자의 화면 사이즈를 추..
SNS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몇 년 동안 군림했던 SNS의 왕관은 다시금 블로그로 회귀하는 듯한 분위기다. 아, 물론 여전히 SNS는 강력하고 또 파워풀하다. 마케팅이든 일상이든 그 외 다른 특정 목적을 달성할 필요가 있을 때, SNS는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빅데이터 시대, 그리고 콘텐츠의 세상에서 SNS만으로 콘텐츠를 운영하고 소통한다는 것은 한계에 다다른 것 처럼 보인다. 여전히 블로그에서 많은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고, 검색은 여전히 가장 뛰어난, 그리고 유용한 서비스다. 얼마전 티스토리 초대장을 왕창 배포하고 나서 들었던 생각은 '다시금 블로그로 회귀하는 듯한 물결'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물결은 마치 연어가 고향으로 되돌아 오는 듯한 느낌이었다. 잠시 외면받았던 블로그 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