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된 글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2010/07/12 - [Programing/기본원리] - 소수점 때문에 바보가 되는 컴퓨터?? 2010/07/13 - [Programing/기본원리] - 부동소수 표현 : 정규표현과 익세스 표현 2진수의 비트 단위는 편리합니다. ( 0과 1 뿐이니까요 ^^ ) 하지만 데이터가 커질 경우에는 길이가 엄청나게 늘어나기 때문에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2진수의 대체로 16..
IT업계 회사 인근 치킨집의 위엄;;;;; 코드짜다 막히는거 있으면 인근 치킨집 사장님한테 가서 물어보면 알려줌;;;;; ㄷㄷㄷ http://www.okjsp.pe.kr/seq/152860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10414633 http://www.twitpic.com/14ahh4 여긴 종로 라고 하네요....ㅎㄷㄷㄷ
이제 CPU , 레지스터와 프로그램카운터 , 2진수 및 그외 기타 등등을 거쳐 드디어 메모리 쪽으로 달려왔습니다 ^^ 2010/07/09 - [Programing/기본원리] - CPU는 단순하다 의외로!!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2010/07/12 - [Programing/기본원리] - 소수점 때문에 바보가 되는 컴퓨터?? 2010/07/02 - [Programing/기본원리] - 프로그래밍 에서의 CPU .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실제 메모리 실제 PC의 메모리가 약 1GB 라고 가정해 볼까요? 1GB 라면 1KB 의 메모리가 약 1,000,000 개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 엄청난 숫자군요. 하..
간만에 유랑검객님의 블로그 BLOGX58 에 방문하였습니다. 유랑검객님 블로그에 유용한 스마트폰 / WEB 에 관한 내용을 좀 읽어보려 함이었죠. 하지만 한동안 괜찮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IE) 또 말성을 피웁니다. 예전에 한번 브라우저는 무엇을 쓸까?라는 주제에 글을 적은적이 있지요. 2010/06/10 - [각종정보/각종 정보] -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하나요? 그나저나 이 글에서보면 그렇게도 익스플로러를 쓰지말라고 해놓고 제가 왜 썻냐구요? 다른게 아니라 은행 업무 때문에 썻다가 ( 그놈에 엑티브X ... ) 저도모르게 IE 로 블로그로 들어와 버린것이었지요. 어쨋거나 그랬기 때문에 , 문득 해결하고야 말겠어! 라는 오기 + 호기심 + 짜증 등으로 인하여 검색에 앞서 알아서 조치할 만한 사..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므로 기수(기초가 되는수) 는 무조건 2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기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호, 가수, 지수 만으로도 표현이 가능 하지요. 부호는 한개의 비트로 나타내고 1이면 음수, 0이면 양수를 뜻합니다. 또한 수의 크기는 가수부와 지수부를 이용하여 표시하지요. 즉, 소수를 ' 가수 X 2의 지수제곱 ' 이라는 공식입니다. y X 2 ^ z => y 는 가수, z는 지수. 가수부와 지수부에 정수가 아닌 값은 어떨까요? 가수부에서는 ' 소수 이상의 값을 1로 고정 ' 하는 ' 정규표현 ' 이 있고, 지수부에서는 ' 익세스 ( excess ) 표현 ' 이 있습니다. 정규 표현이란 특정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정규표현과 익세스..
공식 총금액(합계) = 공급가액 + 세액(부가세 or 부가가치세) 공급가액 = 합계 / 1.1 세액(부가세 or 부가가치세) = 합계 / 11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실제로 컴퓨터는 정확하고 정밀한 기계이지요. 따라서 " 컴퓨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라고 흔히들 말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소수를 계산하는 경우인데요, 따라서 소수의 계산과정을 이해하면 원하지 않는 결과를 보거나 친구에게 빌려준 돈을 제대로 계산하여 손해없이 받을 지도 모릅니다 ㅋㅋ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분명 0.1을 1..
2010/07/12 - [Programing/기본원리] - 오른쪽 쉬프트 연산 : 산술 쉬프트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오른쪽 쉬프트 연산에는 논리 연산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술 연산을 알겠고.... 논리 연산을 뭘까요?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