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 유료 결제에서 인터넷 결제 vs 인앱결제

반응형

 

생성형 AI 같은 해외 구독 서비스 개인사업자 비용처리(경비처리) 문제점

요즘에는 법인이나 개인사업자분들도 생성형 AI 같은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업무에 활용을 많이 하는 듯 하다.문제는 세금 측면이다. 규모있는 기업이나 기관일 경우, 예산에서 달러로 직접

namsieon.com

이전 글에서 챗GPT나 클로드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들은 해외서비스들이고 한국에 지사가 없기 때문에 웹에서 직접 결제로 유료 결제를 하게되면 한국에서 세금신고할 때 필요한 정규증빙의 영수증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글을 썼었다. ↑

사업자 입장에서는 업무 관련된 지출은 영수증 수취 후 비용처리를 하는게 굉장히 중요한데 종합소득세 세금 문제 때문이다. 사업자가 아닌 그냥 일반 사용자들이라면 좀 더 편하고 저렴한 곳에서 결제해서 그냥 자유롭게 쓰면 된다. 하지만 사업자 입장은 다르다. 세금신고 시스템이나 관련 법령 등이 최신 기술을 따라잡기 어렵기도 하고 따라가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에서 생성형 AI같은 해외서비스만 존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웹에서 직접 결제 vs 스마트폰에서 인앱결제 하는 방식 두 가지 정도가 있다. 

 

마스터카드로 클로드 $20을 결제한 금액 (실제 카드 영수증)

현재 챗GPT나 클로드 같은 생성형 AI서비스들의 경우, 인터넷에서 직접 결제를 하게되면 해외결제가 된다. 그러면 해외결제가 가능한 마스터카드 등이 필요하기도 하고 환율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데다가 결제 과정에서 약간의 수수료가 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비용이 조금 더 비싸지는 문제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제일 큰 문제가 이전 글에서 이야기했었지만 영수증에 국내 사업자번호가 나타나지 없으므로 국세청 홈택스에서 비용처리 시스템에 비용 입력을 못한다는 점이다.

결국 선택지는 인앱결제(앱스토어,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이 대안이다. 챗GPT나 클로드 등 유명 생성형 AI서비스들은 대체로 스마트폰 앱도 함께 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상관없이 인앱 결제를 통해서 영수증을 수취하고 나중에 자료로 첨부해서 비용처리하는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서비스들의 경우 다른 방법은 없어보인다. 


AI 서비스 스마트폰에서 결제하는 이유

실제로 챗GPT 같은 생성형 AI서비스들 결제에서는 환율에 영향을 받으므로 환율에 따라서 직접결제vs인앱결제 가격을 비교해보고 결정할 수 있는게 꿀팁이다. 

예를들어 클로드의 경우 인터넷 웹에서 결제하면 명목 금액은 $20이고 부가세를 포함하면 $22에 결제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결제를 하게되면 원화로 30,000원이 찍힌다. 얼핏보면 구글플레이스토어쪽이 좀 더 비싸보인다. 하지만 환율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계산을 해보면,

환매도율 기준 1,350원이라면 가격이 비슷하다. 즉, 환율 1,350원 기준으로 1,350원보다 낮으면 직접 결제가 더 저렴하고 1,350원보다 더 높으면 스마트폰에서 결제하는게 유리하다. 문제는 해외수수료 부분과 전신환매도율의 실시간성으로 인해서 정확하게 파악이 어렵다는 점이다. 만약 해외수수료를 포함하게되면 매도환율 기준으로 1,347원까지 내려가야한다. 

반응형

무엇보다 직접 결제는 영수증 수취가 안되므로 사업자는 더 비싸든 말든 인앱결제가 거의 유일한 방법같다. 재미있게도 현재 환율 기준으로는 오히려 더 싸기까지 하다. 어차피 AI 서비스 계정은 똑같기 때문에 어느쪽에서 결제를 하더라도 평소처럼 다 쓸 수 있다.


클로드 AI 서비스 스마트폰에서 결제하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결제를 해본다.

일단 클로드 앱을 깔고 PC에서 쓸 때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준다. 클로드의 경우에는 이상하게도 스마트폰 앱은 영어로만 제공된다. 웹 버전은 한글로도 잘 쓸 수 있는데... 이상하긴 하다. 암튼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르거나 빌링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된다.

 

플랜은 프로 플랜과 맥스 플랜 두 가지가 있는데 일반 사용자는 프로 플랜이면 충분하다. 스마트폰에서 보는 클로드 프로 플랜은 월 30,000원이다. 이 금액은 $20에 대응한다.

 

클로드를 유료 결제하면 프로 플랜을 쓸 수 있고 프로 플랜은 위와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 더 많은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 클로드 오퍼스 4를 쓸 수 있다.
  • 클로드의 프로젝트 기능을 이용해 채팅 및 문서를 정리해서 관리할 수 있다. 무제한.
  • 사고 확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추천 기능임)

 

매월 정기결제가 되는 부분이므로 구매 확인이 두 번 요구된다. 금액은 30,000원이고 여기에 부가세 2727원이 포함돼 있다고 나와있지만, 실제 영수증에는 부가세 표시없이 그냥 금액만 표시돼 있긴 하더라. 어차피 사업자 입장에선 부가세 환급은 안하고 비용처리만 할거라 관계는 없는 것 같다. 상대 사업자가 국내에서 부가세 납부 대상이 아니므로 부가세 환급은 못받는걸로 이해하고 있다. 맞는진 모르겠다. 어도비 같은 결제 사례를 보면, 보통 해외서비스들은 사업자로 결제하면 처음 결제할 때부터 부가세를 빼고 금액을 제시하긴 한다.

 

아무튼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가 되면서 결제 문자가 나오는데 결제처가 구글페이먼트코리아 유한회사로 찍혀있다. 이렇게되면 영수증 수취가 가능해지고 나중에 영수증에 사업자번호가 나타나기 때문에 비용처리 가능하다.

 

실제 카드 홈페이지에서 이용 내역을 조회해보면 공급금액만 찍혀있는걸 볼 수 있지만 거래금액과 가맹점명이 구글플레이로 나와있고 사업자번호도 볼 수 있다. 나중에 세금신고할 때 이 영수증을 매출전표 확보해서 신고하면 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