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월급에 ?%를 책을 구매하는데 투자하고 있다. 과연 몇 %를 투자하고 있을까? 과연 몇 %를 투자하면 좋을까? 개인적으로는 그 어떤 재테크 수단보다 넓게는 자기계발에 대한 투자, 좁게는 자기 두뇌에 대한 투자, 쉽게 말해서 책을 구매하고 그것을 읽는데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이미 그런 진리 아닌 진리는 단어나 문장으로 설명하긴(수치화시키고 시스템화 시키기에는)부족하지만, 몸소 체험한 바 있기에 더더욱 애착이 간다. 나는 주 1회 혹은 며칠 단위로 30분씩 인터넷 서점을 탐색한다. 인터넷 서점을 서핑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재미가 있다. 재미있는 책들이 잔뜩있기도 하며, 많은 사람들의 한줄 평과 서평, 블로그 글로 링크에 링크를 따라 파도를 타며 여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기하게도 인..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사실을 하나 짚어보자. 우리들은 ‘귀는 두개 이고 입은 하나만 있는것은 말은 적게하고 경청을 많이 하라는 뜻이다’라는 메시지를 알고 있다. 혹은 ‘말로 천냥 빚을 갚는다’든지 ‘세치 혀가 인생을 바꾼다’등의 말과 경청에 대한 스토리를 어릴적부터 많이 들어왔다. 수많은 위인전과 자기계발 서적, 그리고 다양한 명언집들에서도 ‘말보다는 경청을 하라’는 진리 아닌 진리가 나온다. 말이 없는 사람들은 태생적으로, 소심해서, 할 말이 없어서, 정신이 항상 다른것을 생각해서 등 여러가지 이유로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어쨋거나 말을 많이하지 않고, 입이 무거운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만약 당신이 그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고 그와 자주 대화의 장을 갖는다면, 그는 당신의 대부분의것을 알고 있다는 뜻..
전세계가 혁신 열풍으로 들끓고 있는 시대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여기저기서 혁신 혁신 말들이 많다. 기업 경영에서 가장 변하지 않는 말은 무엇일까? 바로 '변하자'는 말이다. 아무리 변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현수막을 대문짝만하게 걸어 회사 입구에서 펄럭인다고 한들 진짜 변화는 찾아볼 수 없다. 진짜 변화를 원한다면 가장 밑바닥부터, 그리고 아주 조용하게, 비밀리에 변화를 시작해야지, 전 직원을 모아놓고 '변하자!'고 3번 외친다고 해서 변하지는 않는다. 혁신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것이 절대 아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말하는 혁신에 암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부가사항은 '최대한 빨리, 그리고 안전하게'가 포함되어 있다. 대한민국에 혁신은 없다. 한국은 무언가를 따라하는것에 뼈 속까지 익숙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