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어느 주말, 울산콘랩에서 진행된 무박 2일 영상 제작 해커톤에 멘토와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참가자분들 중 두 분이 파이널컷 유저이고 내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라고해서 너무 반가웠었었다. 이번에 진행된 울산콘텐츠랩 콘텐츠 제작 해커톤 창작실험캠프 1인미디어 편은 무박 2일동안 진행되는 영상 제작 기획 및 스토리텔링 캠프다. 참가자들은 팀을 꾸려 무박 2일동안 자신들이 만들 영상을 기획하고 발표하여 평가를 받아야한다. 더불어 발표가 끝나고 일주일 안에 해당 영상을 제작해야하는 임무를 받는다. 울산까지 가야하는 부담도 있었지만, 서울에서 오신 멘토님도 계시고... 그리고 해커톤 자체가 재미있어보여서 멘토와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울산콘텐츠코리아랩은 처음 가보게 되었는데 최근에 만들어진 공간이라..
[강의후기] 쉽게 배우는 모바일 SNS 콘텐츠 제작 강의과정 : 강원GLA 굿리더 아카데미 과정 강의제목 : 지역 리더의 SNS 활용법 강의형태 : 특강 강의일시 : 2019년 4월 10일(수) 19:00~21:00 강의대상 : 강원GLA 원주권 수강자 강의장소 : 강원도 원주 인터불고호텔 강의 후기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강원GLA에 스피커로 초청받아 강의를 진행했다. 강원GLA는 강릉, 원주, 춘천 3곳에서 이뤄지는데 첫번째 스타트를 원주에서 끊게 되었다. 원주는 안동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라(강릉보다는 가깝다) 부담없이 다녀올 수 있었다. 비가 부슬부슬 내리고 하늘이 잔뜩 찌푸린 날씨였다. 공부하기에는 더할나위 없던 날씨.이번 강의는 개론적이고 이론적인 내용을 과감하게 빼고 강의 대부분의 시간을 실습에..
경북콘텐츠코리아랩 운영멘토 활동, 그리고 GBCKL에 대해 2016년 11월 12일 토요일. 경북콘텐츠코리아랩에서 운영하는 서포터즈인 랩토커 2기가 발대식을 가졌다.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 1층 건물에서 진행이 됐다. 시설이 좋은 곳이다. 랩토커는 활동기간이 비교적 짧지만 압축된 활동을 해야하는 대외활동으로, 경북권이나 안동에서 할 수 있는 활동 중에서는 몇 안되는 트렌드에 맞는 활동이기도 하다. 서포터즈인 랩토커는 경북콘텐츠코리아랩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인 공개 강의, 교육 과정, 각종 행사 등을 자신들의 SNS 역량에 걸맞게 홍보하는 임무를 맡는다. 1기때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10여명을 이끌었었는데 2기때는 단장이 아니라 운영멘토로 임무가 바뀌었다. 운영멘토가 하는 임무는 그렇게 많지는 않다.(그래서..
창업 관련 멘토가 필요할 때! GBCKL 멘토링 서비스 수 많은 직종과 직업,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있습니다. 꿈을 키우는 것은 꿈을 가지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죠. 그래서 우리는 알아야합니다. 계속해서 공부하고 배워 나가면서 자기 자신을 계발해야하죠. 두려움을 느끼고 무섭고 떨리는 것은 결국 그것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은 말 그대로 공포지만 명확하게 보이는 것은 장애물일 뿐이기에 넘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배워야할 것은 너무나도 많고 그것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태반이죠. 당신은 여전히 전문가가 아니지만 모른다는 것은 부끄러운게 아니기에 누군가로부터 조언을 듣고 배울 수 있습니다.어떤 일을 하고자할 때 이 것이 맞는 방향인지, 이렇게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더불어..
불필요한 스펙쌓기말고 멘토에게 물어보자. 소셜멘토링 잇다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픕니다. 하지만 오늘날 유독 청년들이 아파하는 이유는 경험과 지혜가 부족한 초보 어른인데도 불구하고 사회라는 높은 벽은 그것을 감안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회인으로서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취업문을 뚫는 것부터가 난관이죠. 방학기간에는 아르바이트도 해야하고, 영어공부에다가 자격증, 봉사활동이니 대외활동이니, 인턴 경험 등 해야할 것들이 산더미인데 시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근래에는 인생경험에 스토리가 있어야된다면서 에세이와 프레젠테이션도 준비해야되고, 다양한 가능성과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사회경험에 의해,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불투명한 오늘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A라는 기업..
이 책 는 여성들을 위한 자기계발 신간 도서다. 원제는 다. 행복한 성공을 꿈꾸는 여성들을 위한 멘토링이라는 메시지가 이 책의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어 보인다. 최근 몇년 간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여성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기업계에서는 속된 말로 '여성의 눈을 사로잡으면 무조건 성공할 수 있다'는 일종의 불문율도 존재한다. 그만큼 여성들을 만족시키기가 어렵지만, 여성 고객들은 충성심이 높고 기존에 존재하던 대부분의 남자 고객에 비해 부가가치가 높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런 현상은 출판계에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는 여성들을 위한 에세이와 자기계발 서적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은 본질적으로 다를것이다. 그러나 똑같은 사람으로 본다면 또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