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므로 기수(기초가 되는수) 는 무조건 2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기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호, 가수, 지수 만으로도 표현이 가능 하지요. 부호는 한개의 비트로 나타내고 1이면 음수, 0이면 양수를 뜻합니다. 또한 수의 크기는 가수부와 지수부를 이용하여 표시하지요. 즉, 소수를 ' 가수 X 2의 지수제곱 ' 이라는 공식입니다. y X 2 ^ z => y 는 가수, z는 지수. 가수부와 지수부에 정수가 아닌 값은 어떨까요? 가수부에서는 ' 소수 이상의 값을 1로 고정 ' 하는 ' 정규표현 ' 이 있고, 지수부에서는 ' 익세스 ( excess ) 표현 ' 이 있습니다. 정규 표현이란 특정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정규표현과 익세스..
공식 총금액(합계) = 공급가액 + 세액(부가세 or 부가가치세) 공급가액 = 합계 / 1.1 세액(부가세 or 부가가치세) = 합계 / 11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실제로 컴퓨터는 정확하고 정밀한 기계이지요. 따라서 " 컴퓨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라고 흔히들 말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소수를 계산하는 경우인데요, 따라서 소수의 계산과정을 이해하면 원하지 않는 결과를 보거나 친구에게 빌려준 돈을 제대로 계산하여 손해없이 받을 지도 모릅니다 ㅋㅋ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분명 0.1을 1..
2010/07/12 - [Programing/기본원리] - 오른쪽 쉬프트 연산 : 산술 쉬프트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오른쪽 쉬프트 연산에는 논리 연산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술 연산을 알겠고.... 논리 연산을 뭘까요?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음수표현법!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오른쪽 쉬프트 연산에는 논리쉬프트 와 산술쉬프트 두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선 산술쉬프트 의 내용만 포스팅 할까 합니다. 이전에 왼쪽 쉬프트 연산에 이어 이제는 오른쪽 쉬프트 연산입니다. 실제로 왼쪽 쉬프트 연산보단 조금 복잡하지만 그렇다고 엄청 어려운건 또 아니니 천천히 읽어 보시길 ^^;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2진수의 의미. 2010/07/10 - [Programing/기본원리] - 컴퓨터는 2진수만 취급합니다. 2010/07/11 - [Programing/기본원리] - 재미있는 쉬프트 연산! 2진수 관련 음수표현법입니다. 2진수에서 음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부호를 나타내는 최상위비트(MSB : Most Significant Bit) 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이 최상위비트를 부호비트라고 합니다. 부호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나타내는 방식이죠. 예를들어 10진수 1은 2진수로 00000001 이 됩니다. 그럼 10진수 -1 은 얼마일까요? 흔히 10000001 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 실제로 10진수 -1 의 2진수는 11111111 이 됩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쉬프트 연산이란 2진수로 표현된 수의 자리를 좌 또는 우로 밀어내는 (쉬프트) 연산인데요, 자리를 왼쪽으로 옮기는 왼쪽 쉬프트와, 자리를 오른쪽으로 옮기는 오른쪽 쉬프트가 있습니다. 실제로 쉬프트 연산은 정밀한 수치 프로그래밍이나 게임 프로그래밍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1회의 연산으로 여러자리를 쉬프트 할 수 있지요.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 10진수와 2진수를 비교해보며 변환을 할 수 있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하지만 2진수의 구성을 알고 있으면 컴퓨터 내부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시험문제 등을 풀기위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더 쉬운 변환 방법이 존재하긴 하지만, 이후에 나올 여러가지 것들을 위해 정석적인 방법으로 포스팅 할까 합니다.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