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네이버에 들어가시죠? 저 또한 시작페이지는 구글 이지만 네이버에도 수시로 들어갑니다. 메일도 네이버 메일을 쓰고있고, 여러가지 .. 어떤 이유때문인지는 저도 잘은 모르겠네요... 몇주일 전 브라우저 관련 글을 쓴 적은 있습니다. 2010/06/10 - [각종정보/각종 정보] -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하나요? 어쨋든 저의 주력 브라우저는 파이어폭스 입니다. 엑티브X 및 은행접속 할때만 익스플로러 씁니다 -_-;; 헌데 오늘 네이버에서 엄청나게 크게 광고하더군요... 사실 얼마전부터 했는데 제가 못 봤는듯 ㅋㅋㅋ 저의 익스플로러 버전은 7버전 이었습니다. 망해버린 6버전 쓰기엔 좀 그렇고,,, 그렇다고 얼리어답터 처럼 사용자를 베타테스터로 만들어버리는 8버전을 쓰기에도 성이 안차서 그냥 7버전 ..
현재 계속하여 HTTP 프로토콜, 웹서버, 컨테이너, 그리고 서블릿에 대해 포스팅 하고 있습니다. 2010/06/28 - [Programing/JSP & Servlet] - 서블릿에는 main() 메소드가 없다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웹 서버와 도우미 어플리케이션( CGI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응답 - MIME 타입 ( 컨텐츠 타입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GET 방식과 POST 방식 !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요청과 응답의 구성요소 2010/06/24 - [Progra..
현재 HTTP 프로토콜 및 웹서버 - 웹 컨테이너 - 서블릿에 대한 내용들을 포스팅 하고 있습니다.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웹 서버와 도우미 어플리케이션( CGI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응답 - MIME 타입 ( 컨텐츠 타입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GET 방식과 POST 방식 !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요청과 응답의 구성요소 이번 포스팅은 컨테이너가 동작하는 방식과 어떻게 서블릿을 관리하는지에 관한 내용입니다.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컨테이너가 하는 일 컨테이너는 ..
어제 ( 6월 26일 오후 11시 ) 에는 대한민국과 우루과이의 16강 경기가 있던 날이었죠. 아쉽게 패배한 모습에 , 자국민으로써 너무나도 속상하고 답답하여 심판 판정에 대한 개인적 견해의 글을 적었습니다. 2010/06/27 - [일상다반사/일기] - 우루과이전 심판 은 문제가 있었다. 아침에 부시시 일어나, 블로그 확인! 어..어..어라?? 방문자 수가 블로그를 운영해온 수개월동안 처음보는 숫자였습니다! 무려 23,000 분 이상이 트래픽 유입 되었더군요 -_-; ( 다른 파워블로거분들에 비하면 쥐꼬리만한 트래픽 이므로 "트래픽 폭탄" 에서 좀 다운그레이드하여 " 트래픽 펀치 " 로 네이밍 해보았습니다 ^^ ) 어제 방문수를 보면 알겠지만 제 블로그는 인기가 없어서 대부분 검색 유입으로 들어오고 있..
현재 꾸준히 계속하여 HTTP 프로토콜, 요청과 응답,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하는 구조 등을 포스팅 하고 있습니다.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응답 - MIME 타입 ( 컨텐츠 타입 ) 2010/06/27 - [Programing/JSP & Servlet] - GET 방식과 POST 방식 !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요청과 응답의 구성요소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브라우저에서 HTTP 헤더(Header) 정보 보기.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하는 일? 읽기전에 손가락..
HTTP 응답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HTTP 요청과 응답, 그리고 메시지 방식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요청과 응답의 구성요소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브라우저에서 HTTP 헤더(Header) 정보 보기.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하는 일?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오늘은 GET 방식과 POST 방식 입니다.!!! 우선 서버로의 요청과 응답 방식에는 GET 방식과 POST 방식이 있습니다. ( 실제 그 외에도 HEAD 방식 등 여러가지 방식이 더 있습니다 )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GET 과 POST 방식을 쓰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방식은 논외로 하고 GET 방식과 POST 방식만 간단하게 적어 보겠습니다. 참고글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HTTP 요청과 응답의 구성요소 2010/06/24 - [Programing/JSP & Servlet]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하는 일?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Head First SQL : 효율적인 DB 관리를 위한 SQL 학습법 리 뷰 Head First 시리즈에서 가장 완벽하다고 할만한 책입니다. 번역 뿐만 아니라 책 구성과 요소들도 다른 시리즈의 책보단 완성도가 높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요, Head First 시리즈가 다 그렇듯이 기초개념 이해에 집중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ELECT 쿼리 하나 날리는 부분에서도 몇 페이지 이상을 투자하여 설명하고 있고 , 또 이 부분을 이해하기 쉽도록 해 놓았지요. CRUD 는 물론이고 조금은 어려울지도 모르는 내부쿼리, 조인, 테이블생성 등에 대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공부하기에 더 없이 좋습니다. 기존에 있던 DB 책들은 두껍고 딱딱하며 어렵기만 하지요. 각종 그림과 재치있는 설명, 소설처럼 어떤 문제를 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