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오래전부터 매년 자동차세를 연납할인으로 신청해서 매년 1월에 한꺼번에 납부, 자동차세를 할인받고 있었습니다. 자동차세의 경우 지방세이기 때문에 미리 납부하면 지방재정에 도움이 되는데요. 제 주소지인 안동시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방 재원 세입 전체에서 자동차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17% 정도 될 정도로 지방세에서 자동차세가 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할인은 할인율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예전에는 10%까지 할인을 해주었다가 7%로 떨어졌다가 6%대로 떨어졌었고 5%가 되었었는데 올해는 약 4.6% 정도의 할인율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3% 정도 제공한다고 하네요. 자동차세를 연납할인을 통해 1월에 한꺼번에 납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요. 첫번째는 연납..
제가 등록되어 있는 안동시의 경우, 2023년 기준으로 1월에 자동차세를 납부하게 되면 연납할인으로 6.4%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10%씩 할인을 해주었었는데 세월이 지날수록 할인율이 떨어지고는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6.4% 정도도 괜찮은 수치인 듯 합니다. 6.4%짜리 비과세 확정금리 수익률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자동차세는 1월에 납부하는 조건으로 연납할인을 받는게 여러가지로 유리합니다. 저는 매년 자동차세를 연납할인으로 1월에 납부하고 있습니다. 지방세이기 때문에 지방 재정에 도움이 됩니다. 납부 방법은 스마트위택스 앱을 설치해서 로그인 후 납부하면 되는데요. 납부 방법 자체는 예전에 블로그에 써둔게 있고 변경된게 크게 없어서 이전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스마트폰으로 ..
자동차세는 반드시 1월에 납부하는게 좋다. 연납할인 제도라고해서 1월에 1년치 세금을 납부하면 할인 혜택을 주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10% 할인 혜택을 제공했었는데 최근들어 혜택이 조금 축소되어 대략 9% 정도를 할인해준다.(정확하겐 9.15% 할인) 원래는 1월~12월까지의 세금을 기준으로 할인을 제공하다가 최근에는 2월~12월까지의 세금 중 10%를 할인해주는걸로 바뀌면서 총 할인 혜택은 9.15%로 줄어들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어차피 내야할 세금을 미리 납부하는 조건으로 9% 할인은 나쁘지 않다. 해당 돈을 가지고 1년동안 최소 10%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면 연납할인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연평균 9%의 수익을 투자로 올리는건 쉬운 일은 아니므로 마음 편하게 1월에 납부하고 1년동안 편..
2020년도 자동차세 연납할인으로 10% 할인받기 자동차세 연납할인은 1년치 자동차세를 한꺼번에 납부하면 일정 부분만큼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로 블로그에서 여러차례 소개한적이 있는 제도다. 자동차세 연납하고 세금 10% 감면받기(2016년 추가): https://namsieon.com/2242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연납 10% 할인 신청하는법(아이폰) : https://namsieon.com/4044 2020년인 올해에도 자동차세 연납할인을 받을 수 있다. 1년 세액을 기준으로 1월에 모두 납부하면 10%, 3월에 내면 7.5%, 6월은 5%, 9월에는 2.5%를 할인받을 수 있다. 단순 계산으로 10%면 꽤 큰 비율이다. 한번에 목돈이 나간다는점만 제외하면 수익률 자체로 따졌을 때 10%를 내는건 어렵다..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연납 10% 할인 신청하는법(아이폰) 매년 1월은 자동차세를 연납할인 납부할 수 있는 달입니다. 1월에 연납신청하여 납부하면 전체 자동차세의 1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어차피 내야할 세금이면 이왕이면 조금이라도 할인받으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매년 연납신청하여 자동차세를 약간이나마 절약하고 있습니다. 단점아닌 단점이라면 연초에 세금을 한 번에 다 내야한다는 점 정도입니다.지금까지는 PC 인터넷으로 연납 납부해왔는데 이번에는 스마트폰(아이폰)으로 납부처리 해보았습니다. 제일 먼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 앱 안에 넣을 공인인증서와 모바일지로, 스마트 위택스 앱이 필요합니다. 먼저 스마트 위택스 앱을 실행하여 접속합니다. 1월에 접속할 경우 조회납부 1건이 잡힙니다. 클릭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