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윈도우10에서 캡처했을 때 알림이 떠서 알림 클릭해서 저장하고 할 수 있었는데 실수로 잘못 클릭해서 알림을 꺼버렸더니 그 다음부터는 알림이 안 뜹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찾아보니까 무슨 백그라운드를 어쩌고 저쩌고 하라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게 없어서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해결했네요. 일단 윈도우10 설정으로 들어가서 알림 및 작업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에 보면 앱 알림 받기가 있는데 알림이 꺼져있을 경우 여기가 끔으로 돼 있을거에요. 이걸 켬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이제 다시 알림 잘 뜨고 편안하네요 ㅎㅎ 윈도우는 MAC에 비해서는 화면을 캡처하는게 조금 번거롭네요 ㅠㅠ
이번에 홈 오피스 셋업을 전체적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것들을 많이 사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비중있는 녀석이 바로 윈도우 PC 조립식이었다. 오래도록 mac 계열의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만 써왔었다. 윈도우 PC가 없는게 종종 불편할 때가 있었지만(공인인증 작업 등), 요즘에는 모바일로 되는 것들도 많고해서 어찌저찌 버티고 있었다. 정 안되면 부트캠프로 들어가서 쓰기도 했고. 그런데 이번에 새로나온 M1 맥북은 부트캠프를 못쓰는 입장이라 조만간 M1 맥북으로 갈아탈 예정이기 때문에 윈도우 PC를 사기로 마음먹었다. 사실 윈도우 pc 하나정도 있으면 게임할 때도 쓰고, 영상 편집용으로도 사용할 마음이었다. 물론 영상 편집은 파이널컷을 쓰기 때문에 M1 맥북으로 하게 될 계획이지만, 그거외에 일반..
티스토리 블로그 통계/결산 툴 tistat 사용 방법 티스토리 블로거분들은 가끔 블로그 결산을 하시곤 합니다. 저 또한 매월 결산을 진행을 하고 있구요~ 관련 글 & 링크 [각종정보/블로그] - 블로그 결산 - 4월 :: 티몰스의 랩하는 프로그래머 [각종정보/블로그] - 블로그 결산 - 3월 :: 티몰스의 랩하는 프로그래머 5월 1일. 4월 결산을 마친 뒤에, 소셜윈 님께서 통계자료를 내는 프로그램 소개를 부탁한다는 댓글을 보고 다른 분들의 블로그 글을 링크해 드릴까 생각하다가, 왠지 성의가 없는것 같아 직접 포스팅 하기로 했습니다 ^^;; 소개할 프로그램은 티스토리 블로그 통계/결산 툴 tistat 입니다. 티스탯의 출처는 환상의 성 블로그(http://raspuna.lovlog.net) 입니다. 찾아..
이미 언급했던 것처럼 스마트폰으로 게임만 하거나, 인터넷만 뒤적뒤적 거리는것은 ..... 잠깐의 즐거움은 있을지 모르지만 생산적이진 못합니다 ^^ 요즘 밤새도록 학원이나 도서관에서 영어공부를 해야하는 시점이니, 버스, 지하철 등 이동하는 시간대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하게 영어학습을 할 수 있다면 TOEIC TOEFL 고득점도 꿈만은 아닙니다 ㅋㅋㅋㅋㅋ 오늘 소개할 센텐스 EPD 애플리케이션은, 영어회화, 그리고 영어학습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영어말하기 패턴을 이용하여 원어민 발음을 들려주며 사용자는 그저 타이핑 흐름 따라하기 만 하게되면 자연스레 영어공부가 되니까요 ^^ 스마트폰 교육용 앱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기능들이 참 많습니다. 환경설정을 통해 속도조절 및 자동진행 등을 ..
저는 프레젠테이션 툴로 키노트를 사용합니다. 아직 서툴지만 직관적인 기능과 애니메이션에 감탄을 하고 있죠 ^^ 어쨋거나 아직 한국사회에서 키노트 만으로는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는 있어도 문서교환이나 전송은 힘이 들기때문에, 오피스가 아예 없어서는 안되겟죠.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1 을 설치했습니다. 우선 설치 완료 후 아이콘이 이뻐서 감탄을 하긴 했네요 ~ ㅎㅎ 이전에 투박했던 아이콘 밖에 기억에 없는데, 아주 직관적이면서도 이쁜 아이콘으로 바뀌었네요 ^^ 아웃룩 같은 경우 오페라 브라우저 아이콘과도 비슷하네요 ㅎㅎ ( 설치 직후 강제로 DOCK 에 추가되는건 좀 별로더군요... ) 설치 후 아무래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파워포인트를 실행해 봤습니다. < ..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디스크는 그 표면을 몇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사용합니다.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디스크 캐시 ( Disk cache ) 란 디스크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보관해두는 메모리안의 영역을 말합니다. 이후에 같은 데이터를 읽어야할 경우가 생기면, 실제의 디스크가 아닌 디스크 캐시의 내용을 읽으면 되지요. 읽기전에 손가락 한번 클릭~ >_ System.ini 파일에서의 [vcache] 부분에 적힌 숫자를 변경하는 것으로 용량을 KB 단위로 재 설정 할 수 있었습니다. System.ini 파일은 OS 가 시작할 때 기본적으로 메모리에 적재하는 프로그램과 파일, 드라이버 등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고 이와 비슷한 win.ini 파일은 좀 더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system.ini 파일을 변경했다면 반드시 PC를 재 시작하여 새로운 캐시를 적용해야 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