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안내]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삶 - 부산가톨릭대학교 강의 주제 :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삶, 콘텐츠로 창의적 차별화 포인트 만들기 강사 : 남시언 - 작가, 콘텐츠 큐레이터, 강사, 파워블로거 대상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생 대상 장소 : 부산가톨릭대학교 강의날짜 : 2017년 11월 15일 수요일 다음주에는 부산으로 갑니다. 창의적인 대학생들에게 콘텐츠를 이용해 차별화 포인트를 만드는 전략에 대한 강의가 있습니다. 제가 직접 일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아이디어지도 만들기, 정보시각화, 할일목록 관리 방법을 비롯해 창의력의 원천이 되는 메모와 독서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청심 ACG 역사∙수학 대회!!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입니다. 오늘날에는 지식과 정보 뿐만 아니라 창의력과 상상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상상력이 돈이 되고 산업이 되는 세상. 창조 경제로 대표되는 시대적 트렌드인데요. 지금은 과거 산업화 시대와는 달리 단 하나의 콘텐츠가 엄청난 부를 창출하고 있죠. 가령, 해리포터라나 뽀로로 같은 콘텐츠가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저 역시 콘텐츠 회사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었지만 그때마다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많이 필요하더군요. 사업기획에서부터 마케팅, 사업 결과 및 기대효과 추측에 이르기까지 어떤 사업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것 역시 논리력, 사고력, 창의력 등이었습니다. 이런 시대적 트렌드를 반영하듯 학교나 기업, 국가 등에서는..
창조적인 사람은 어떻게 탄생하는 것일까? 창조와 관련된 수많은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은 창조적인 사람일까? 예를들어 어느 대학에 가 있다면 그 학과의 교수나 학과장은 창조적인 사람일까? 아니면 아무런 제약도 없이, 그 누구도 간섭하는 사람이 없고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그저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사람은 창조적인 사람일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창조적이라고 하는 것은 무언가를 생산해내었을 때 결정된다. 즉, 상상력이 집결된 소설을 써낸다든지, 그 자체로는 별로이지만 의미는 아주 매력적인 그림을 그려낸다든지,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어떤 제품을 개발한다든지, A와 B를 조화롭게 섞어 제2의 상품을 만들어낸다든지 같은 일들을 해서 완료를 지었을 때, 비로소 창조적이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된다. 그만큼 이라 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