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중에서도 facebook은 정말 많은 이용자 층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구들과 공유하기가 쉽고, 재미가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서비스인데요. 페이스북의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자신의 블로그나 사이트 등에 페이스북으로 곧장 공유가 가능한 댓글 창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그거 뭐 별 거 있겠어?' 같은 생각 때문인지 페이스북의 파괴력을 간과했던 것인지 아니면 잘 몰라서였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던 방법이었습니다만 요즘에는 거의 왠만한 사이트에는 대부분 페이스북 댓글 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오히려 없는 곳을 찾기가 힘들 정도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특히나 콘텐츠 중심의 사이트(블로그, 뉴스 플랫폼 등)에서는 거의..
티스토리 밀어주기 HTML로 모든 포스트에 적용하기 2014년을 맞아 티스토리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시스템이 바로 밀어주기 기능입니다. 인터넷 방송의 별사탕 시스템이나 오마이뉴스의 원고료 주기 시스템과 닮아 있는데, 블로그에 있는 양질의 글을 통해 읽는이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소정의 금액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 공통적으로 모바일에서 동일한 디자인의 위젯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크기 또한 같습니다. 티스토리에서는 현재 시범오픈 기간으로 해당 기능을 적용해두고 있으며, 2013년 우수블로그에겐 우선 제공하였고 클로즈 베타 모집을 통해 일부 유저들에게 적용하여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해두었습니다. 저 역시 클로즈 베타에 신청하였었는데 오늘 테스트가 가능하다는 방명록을 보고 적용시켜 보았습니다. ..
다음과 티스토리 블로그를 서비스하고 국내 최대 메타블로그를 함께 서비스하던 다음커뮤니케이션은 2014년 4월 30일 다음뷰(Daum View)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다음뷰는 2005년 초창기 '블로거뉴스'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2009년에 다음뷰로 서비스명을 변경, 2014년까지 지원되던 메타블로그 서비스였다. 예전부터 다음뷰 폐지설이 나돌긴 했었고, WEB 2.0을 넘어 3.0으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 그리고 사람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블로그 이용패턴이 과거와는 달라진 오늘날 메타블로그 서비스의 존재 이유 자체가 의문스럽다는 견해도 있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는 다음뷰 서비스를 종료하면서도 Daum 메인페이지에 블로그 글 등록 및 새로운 추천 버튼 등 좀 더 아날로그 틱하고 편리해진 시스템을 이용..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 파일 다운로드 버튼 형태로 만들기 블로그에서는 특정 파일을 업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정 파일 양식에서부터 링크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할 때 많이들 사용하시는 글쓰기 에디터, 즉 위지윅 에디터에서 파일을 업로드하게 되면 아래처럼 간단한 파일 아이콘과 링크 텍스트가 제공되는 형태로 기본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 위지윅 에디터에서의 파일 업로드 하지만 이 고전적인 방법의 문제점 중 첫번째는 예쁘지가 않다는 것이며, 클릭을 유도할만큼 직관적이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문제점은 파일을 꼭 티스토리 서버에 업로드 하여야만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파일을 링크할 수 있는 HT..
티스토리 블로그 Skeleton 반응형 웹 스킨에서 타이틀 이미지로 적용하는 방법 마크쿼리님이 제공해주시는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인 Skeleton이 괜찮은 반응을 얻고 있는 듯 보입니다. 저 역시 적용한 뒤 몇 가지 설명 글을 포스팅 한 적이 있는데요. 몇 개의 설명 글로는 역시 부족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는지, 댓글이나 방명록 등을 통해 스킨 및 활용에 관해 문의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네요. 이번 글 역시 문의글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서, 티스토리 블로그 Skeleton 반응형 웹 스킨의 상단 타이틀을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해당 내용은 이미 마크쿼리 커뮤니티의 도움말 ↩에 설명되어 있기에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으며, 제 블로그에서는 제가 직접 적용한 소스코드를 기준으로 ..
티스토리 블로그 티애디션 타이틀을 이미지로 적용하기 오늘은 티스토리 블로그의 티애디션에서 표현되는 타이틀을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저 또한 과거 오래도록 티애디션의 타이틀을 이미지화 시켜 적용하였던 적이 있으며, 최근에도 티애디션의 타이틀을 이미지로 적용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즉, 수요가 있지만 티스토리 자체에서는 그 어떠한 가이드라인이나 방법론이 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블로거 개개인이 직접 수작업으로 HTML 소스코드를 수정하는 방법 외에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실정입니다. 티애디션의 타이틀을 이미지로 적용한 모습 ▲ 티애디션의 타이틀을 이미지로 적용한다는 것은, 자신의 블로그 첫화면을 티애디션으로 구성한 다음 마치 잡지나 컬렉션, 카탈로그처럼 독자에게..
요즘 마크다운 문법을 활용하여 포스트를 작성하는데 푹 빠져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문법은 몇개 한정되어 있긴 합니다만 쓰면 쓸수록 편리하고 재미가 있네요. 아직 적응 중이라서 완벽하게 활용한다고 볼 순 없지만 조금씩 익숙해지는 맛도 있습니다. 좀 찾다보니 마크다운을 지원하는 다양한 글쓰기 어플리케이션들이 있더군요. 제가 사용하던 율리시스 3는 걸음마 수준이었습니다. 좀 더 강력하고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앱들도 참 많았습니다. 어떤 앱을 쓰든간에 자기 자신에게 잘 맞는 시스템을 선택하는데 중요할텐데, 저는 최근에는 MOU라는 시스템이 마음에 들어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미리보기가 실시간으로 적용되는데다가 여러가지 테마가 있고, CSS를 수정할 수 있다는 ..
티스토리 티애디션은 반응형이 안된다? NO! 티스토리 티애디션 반응형에 어울리도록 적용하는 방법 티스토리에서 제공 중인 티애디션은 플래쉬 등을 이용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반응형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티애디션을 제외하면 티스토리 블로그의 첫 화면을 깔끔하게 꾸미기가 상당히 힘들어서 티애디션 중에서도 반응형이 어느정도 가능한 아이템들 위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요. 며칠간 다양한 방법으로 티애디션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지금 제가 사용 중인 Skeleton 이나 마크쿼리 ↩님이 배포하고 계시는 스킨을 사용하는 블로거분들의 티애디션도 많은 참고를 했습니다. 대부분의 블로거분들이 티애디션의 사이즈 자체를 줄여서 모바일에서도 적당한 사이즈로 보이게끔 적용하고 계시더군요. 하지만 제가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