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래에서 외국 기업과 일을 하고 받은 달러들이 조금 있는데, 이걸 보통은 바로바로 원화로 환전해서 원화로 생활비 쓰고 그랬었는데 작년 말부터는 달러를 모아두었다가 환율이 올랐을 때 팔아서 환차익을 얻고 싶어서 그대로 가지고 있었었다. 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봐도 원화 강세가 사그라들 기미가 안보이고, 내 판단으로는 한동안은 계속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것 같아서 일부 금액을 페이팔에서 바로 출금해서 원화로 쓰기로했다. 돈도 필요했고. 너무 오래도록 썩히는게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 드라마틱하게 환율이 올라서 내가 원하는 그림은 나오지 않았다... 수수료가 포함된 페이팔의 출금 환율을 보면 현재 원달러 환율 1090원 기준으로 1059원을 쳐준다. 그러니까 오늘자 환율 기준으로 달러당 약 30원을 떼가는 셈..
여러분이 콘텐츠 크리에이터라면 국내 기업과의 거래만해서는 곤란하다. 해외에는 더 많은 기업들이 있고 시장이 국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서 여러분만의 전문성이 있다면, 외국 기업과의 거래도 고려해봐야한다. 나는 여러 기업과 제휴를 맺고 거래를 하고 있다. 알게 모르게 많은 크리에이터분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그렇게 하고 있다. 국내에 진출해 있는 체인이라고 하더라도 본사가 외국계 기업이면 본사랑 거래할 경우 외국환 거래를 할 때도 있다. 중국 기업도 있고, 미국 기업도 있고 기타 다른 국가의 기업도 있다. 이때 국제법으로 통용되는 계약서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이메일로 소통하고 별도의 계약서 작성 없이 그냥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서로를 믿고 진행하는 편이고 믿을만한지는 스스로 판단할 수 밖..
픽사베이 작가 활동 기부 받기 위한 페이팔 머천트 ID 넣는법 픽사베이(Pixabay)는 오래전부터 블로거들과 SNS 콘텐츠 제작자들 사이에서 유명한 무료 이미지 스톡 사이트다. 요즘에는 영상이 대세라서 영상도 종종 올라오는것 같지만, 영상은 아무래도 가격이 상당한데다 촬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까닭에 무료 영상 소스 보다는 유료 영상 스톡 사이트로 많이들 활동하시는것 같다. 아무튼 나도 예전부터 찍어둔 사진들이 블로그나 SNS에만 있기에는 너무 아깝고 어딘가에 아카이브 해놓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이번에 픽사베이랑 언스플래시에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작가 활동이라고 해봤자 찍어둔 사진을 원본으로 업로드하고 태그하는게 전부일 정도지만… 픽사베이에서 사진을 업로드할 때 사진 작가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