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유튜브? 유투브? 맞는 말은? 세계 최대 동영상 전문 공유 서비스 youtube. 영어로는 youtube인데 이걸 한글로 표기할 때 과연 ‘유튜브'로 해야할지, 아니면 '유투브'로 해야할지 애매하다. 어떤 이는 유튜브로, 어떤 이는 유투브로 표기하기 때문에 정확한 표기법을 알고싶어 조사를 해봤다.가장 먼저 구글 검색. 공식 사이트의 사이트 이름이 유튜브로 표기돼 있다. 다음으로 네이버 사전 검색. 마찬가지로 공식 명칭에는 유튜브로 나와있고 개인이 편집하는 오픈사전에는 유튜브일 때도 있고 유투브로 표기한 사람도 있다. 마지막으로 국립국어원 공식 카카오톡인 우리말365를 통해 질의를 해봤다. 질의 시간이 제한돼있어서 시간을 잘 맞춰 문의해야한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정확한 발음 표기에 대해서..
한글을 영어로 쓸 때 꼭 필요한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법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멀고 먼 옛날. 19살 때의 일입니다. 당시 구미 1공단에 있는 모 공장에서 품질관리팀(실제 기업내부에선 QC라고 불리었지만 정확한 명칭은 QA였어요)의 공정업무를 담당하여 첫 입사하였을 때. 월급을 받을 통장 개설을 위해 서류를 주더군요. 미리 계약된 기업은행의 통장개설 서류였는데, 여러가지 항목들 중에 영어이름 표기가 있었습니다. 지금껏 정확한 서류를 통해 영문이름을 적어본 적이 없던터라 고민고민하다가 공란으로 비워두고 서류를 제출했었습니다. 이후 통장이 개설되고 체크카드가 나왔는데, 해당 체크카드에 영문 이름이 적혀있는 것을 보고 기분이 참 좋았죠. 은행 측에서 알아서 영문이름을 적어준 것입니다. 어찌보면 사소한 것인데..
블로그나 기타 매체에 글을 쓰다보면 문득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한국어 같은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맞춤법이나 쉽게 틀릴 수 있는 단어들이 많이 있지만, 모국어인 만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외래어표기법은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 모를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Data : 데이터 or 데이타 - contents : 콘텐츠 or 컨텐츠 - festival : 페스티벌 or 페스티발 헷갈리는 위와같은 외래어들은 도대체 어떻게 표기하는게 맞을까요? 이때,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을 참고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링크]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 바로가기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을 참고하면, Data 는 데이타(X) 데이터(O) 가 맞습니다. 마찬가지로 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