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창출을 위한 블로그 마케팅 활용 강의 1강 강의형태 : 커리큘럼 강의일시 : 2020년 6월 17일(수) 강의대상 : 수강생 전체 강의장소 : 가톨릭상지대학교강사 : 남시언 강의 내용 블로그를 해야하는 이유와 목적 블로그 기본 구조와 포스트의 구성요소 블로그 주제 선정 블로그 이름과 닉네임 결정 블로그 앱 설치 및 블로그 ID 선정 방법 노하우 블로그 글쓰기 및 포스팅 준비 주제 선정 및 구성 전략 강의 후기매주 수요일 저녁에 열리는 수익 창출을 위한 블로그 마케팅 활용 강의 첫번째 시간이 있었다. 블로그는 최근 언택트 시장이 각광받으면서 재조명되고 있는 매체이자 플랫폼이기도 하다. 이번 수업에는 많은분들이 참여하셨는데, 신청자 전원이 참가한, 출석률 100%였던 시간이었다. 자영업자분들과 개인 사..
원달러환율 1200 돌파해서 달러 팔고 원화로… 달러 환율이 1200선을 돌파해서 가지고 있던 소량의 달러를 전량 팔고 원화로 바꿨다. 원래 목표 환율은 1190대였는데 최근에 급격하게 상승해서 1202.7 환율로 환전했다.달러 수입은 보통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들어오는 소액이다. 원화를 달러로 만들고있지는 않다. 환전하는 과정에서 수수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 수수료만큼의 수익을 내려면 큰 위험을 감수해야하기 때문이다. 예전에 여행가려고 일부 환전해둔 달러가 있었는데 그 금액은 지금 미국주식에 투자 중.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애드센스 수입이 있거나 유튜브에서 받는 수익으로 달러 수익이 있을 경우, 이걸 원화로 그냥 받지말고 달러로 받은 다음 가지고 있다가 환율이 올랐을 때 판다면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티스토리 밀어주기 종료, 628일간의 수익 2014년 5월 7일 적용했던 티스토리 밀어주기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구글 애드센스가 평정하고 있는 티스토리 블로그 광고계에 질풍같은 시스템으로 사람들로부터 큰 기대감을 받는 것 같더니 어느새 잠잠해지면서 어느새 사용자나 블로거 모두에게 크게 유용하지 않은 서비스가 되어버렸다. 블로그에 있는 양질의 글을 통해 읽는이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소정의 금액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었는데 전체적으로 수익이 크게 활성화되지 않았던 것 같다. 시도는 좋았지만 결과는 아쉬움이 남는다. 콘텐츠가 무료라는 인식과 자발적 후원에 인색한 한국 문화에 많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참 슬프다. 앞으로 어떻게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밀어..
블로그 수익 포스트 양 VS 질 . 선택은? - 블로그 수익 양보단 질 편 블로그 수익 포스트에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양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과 질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로 양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이 미사일라면, 질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은 저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확실하게 타겟팅된 독자들을 상대로, 액션을 발생시키는것이 주된 목적이다. 질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의 포스트는 대부분 커미션이 높지만, 키워드 경쟁이 치열하고 검색엔진 최적화 및 블로그 지수 등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악재로 남는다. 반면에 액션이 발생할 경우 높은 커미션으로 인해 노력의 결과를 맛볼 수 있으며, 오랜시간 작성된 포스트인 만큼 검색포털 메인이나 메타사이트의 메인 등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진다. 또 장..
블로그 수익 포스트에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양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과 질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로 양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은 전쟁으로 치면 '인해전술'이다. '물량엔 장사 없다'는 말이 진리처럼 통용되고 있지만, 블로그 수익에서도 과연 그럴까? 먼저 양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은 대게 커미션이 낮지만 주제가 가볍고 포스트 작성시 상대적으로 작은 시간을 소모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아이템 가지수가 많고 많은 트래픽 유입을 통해 CPC , CPM 등의 추가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예를들어, 1시간에 1개의 포스트를 작성한다고 치고, 질적으로 집중하는 스타일은 4시간을 소비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똑같은 시간을 소비할 경우, 양적인 스타일의 블로거는 4개의 포스트를 발행할 수 있다는..
블로그 수익의 커미션은 대게 비율의 개념과 단가의 개념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링크프라이스 같은 제휴프로그램은 비율로 커미션을 지급한다. 즉 상품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특정 %를 지급한다는 의미다. 반면에 단가의 개념은 정해진 금액을 커미션으로 주는 형태다. 물론 몇몇가지 예외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비율개념으로 지급하는 커미션은 단가 자체가 낮고, 단가개념으로 지급하는 커미션은 금액 자체가 높다고 가정하겠다. 이 비율과 단가의 개념은 수익금에 있어서 엄청 중요하다. 왜냐하면 비율개념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현재 커미션의 가치를 유지하려는 성격이 있지만, 단가개념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커미션이 하락하는 효과를 가진다. 왜냐하면 국가 인플레이션 및 예금이자 등 경제학적인 시각으로 볼 때 단가가 고정되..
오늘 오전에 기업은행에 방문을 했습니다. 바로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을 수령하기 위해서 였지요.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은 대부분의 블로거분들이 그렇게 하시겟지만.... 웨스턴유니온퀵캐쉬로 하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일단 수령시기 자체가 빠르고 , 수령절차도 간단하니까요~ 그나저나, 도대체 얼마만에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받아보는지..... 저같은 경우, 작년 이맘때쯤에 한번 받은 경험이 있으니.... 약 10달 . 거의 1년이 되야 겨우 $100 를 모을 수 있습니다 ㅠ_ㅠ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 유니온퀵캐쉬를 처음 수령할 때가 기억납니다. 저의 주거래 은행은 농협인데요. 웨스턴유니온 홈페이지에서 찾아본 결과, 국민은행, 농협도 된다고 해서 농협찾아갓다가.... 안된다는 말만 듣고 기업은행까지 걸어갔던 슬픈..
블로그 운영으로 매년 억대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을까? 즉, 블로그 만으로 먹고 살 수 있을까? 너무나도 매력적으로 들리는 이야기이다. 블로그만 운영하여 지금처럼 충분히 먹고살 수 있다면 당장이라도 그 해법을 알고 싶어진다. 이 책에는 프로블로거들의 블로그 수익 노하우, 블로그의 운영기획, 마케팅과 프로모션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외국인이니 딴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등잔밑이 어둡다고 가까이에 있는 이웃 '머니야 머니야' 님의 이라는 책도 비슷한 주제를 다룬 도서이다. 머니야 님은 국내에서 프로블로거로 불리기에 전혀 손색이 없다. ( 한RSS 구독자 수만 1100명이 넘는다 ;;;; 머니야님의 블로그를 가보면 카운터 숫자는 명성만큼 높지 않은데, 아마도 RSS로 구독하는 분들이 많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