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자의 기록] 짚으로 똥 닦기 이삭을 떨어낸 벼 따위의 줄기와 잎은 지푸라기라는 날개를 가진 짚이다. 추수를 하고 남은 짚은 생활용품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했는데 짚신, 초가집 지붕, 소 여물 등이 주요 사용처였다. 1970년대 한국의 가구는 대부분 초가집이었다. 전기도 없던 시절이라 전부 호롱불을 사용했고 화장실은 푸세식으로 집 밖에 있었다. 겨울엔 추웠고 여름엔 더웠으며 대체로 농사를 지어 먹고 살았다.얼마 후, 새마을운동 역점 과제였던 농가지붕 개량 사업이 추진되면서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초가집 지붕이 기와로 바뀌었다. 기와집은 초가집보다 보기에도 고급스러웠고 이때부터 지붕에 올라가던 짚을 퇴비로 사용하여 농사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남는 짚은 새끼를 꼬고 가마니를 만드는 등 각종 도..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과 경북콘텐츠코리아랩, 한국 SNS산업대상 '특별상' 2016년 대한민국 SNS산업대상은 사단법인 SNS산업진흥원과 KBS미디어가 공동 주최하고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Korea IT Times가 후원하는 프로그램이다. SNS 분야에 진흥원이 있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SNS와 관련하여 공신력있는 국내 시상식임엔 틀림없다. 걸그룹 포미닛과 여자친구, 아식스코리아와 우아한형제들, 제주항공 등 걸출한 수상자들이 대거 포진해있다는점만 봐도 알 수 있다.2016년 대한민국 SNS산업대상에서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과 경북콘텐츠코리아랩은 SNS산업진흥원장상인 특별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이 2013년 개원하였고 경북콘텐츠코리아랩이 2015년 ..
새해 연휴는 끝났어. 핑계는 뜯어내. 꽤 길었던 설 연휴도 끝이났다. 현재를 중심으로 생각할 수 밖에 없는 나에게 이번 연휴는 엄청 길었다. 설이 주말로부터 이어졌고 대체휴일까지 붙으면서 일주일이 순식간에 지나간 느낌이다. 직장인들에겐 이틀만 출근하면 다시 또 주말을 맞이하는 멋진 기간이기도하다.연휴 때는 휴식을 빙자해 잉여롭게 시간을 보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저 쉬었다. 아무것도. 글도 쓰지않았고 인터넷도 거의 안했다. 나는 며칠간 돼지처럼 맛있는 음식과 비싼 밥을 먹고 누워서 TV를 멀뚱멀뚱 보거나 책상에 앉아서 책을 조금 읽는 것으로 설을 보냈다.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대신 이런저런 생각은 정말 많이했다. 시간은 남아도는데 할 일은 없으니, 할 것이라곤 그저 생각 뿐이었다. 앞으로의 방향이나 ..
잘가라! 나의 20대여... 나는 지금 29살이고 곧 서른이 된다. 내 아버지가 서른때 나를 낳았으니 나는 곧 내가 태어났던 해의 그와 같은 나이다. 어린시절 아버지는 크고 건강한 용감무쌍 호랑이 같았다. 지금의 나는... 들고양이 같다.나는 20대가 되기 전까진 나의 20대를 상상한 적이 없던 것 같다. 단 한번도! 어른이 되면 어떨까...같은 생각자체를 안했나보다. 노느라 바빴으니 그럴만도 했겠다. 상상여부에 관계없이 내 20대는 정말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많은 일들로 가득찼다. 대학에서 공부를 했고 군대를 다녀왔으며 블로그를 시작하고 책을 썼고 강의를 하고 돈을 벌기도 했다. 회사에 취직했다가 그만두기도 했고 귀 빠지고 처음 해외도 다녀오는가 싶더니 나중에는 여러번 가게되었다. 운전면허를 따고 장..
버스에서 치킨 냄새를 맡다 술 약속이 있어서 차를 놔두고 버스를 타고 시내로 가고 있었다. 차로가면 금방이지만 주차문제를 해결해야하고, 대리운전을 해야하는 등 신경쓰이고 복잡한 일이 생기기 마련이다. 주차공간은 항상 부족하고 차와 사람은 언제나 많다. 이럴 때 버스나 택시를 타보면 아주 편하다는걸 알게되는데,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동안 조급함을 없애는게 쉽지가 않다. 우리는 너무 급하고, 너무 빠르게 살고있다.저녁 시간이라 그런지 버스는 에어컨을 켜지않고 창문을 열어두고 있었다. 빈 좌석이 많아 자리를 잡고 앉아 음악을 들으며 목적지로 향하는데 어디서 치킨 냄새가 났다. 분명 치킨이다. 절대 다른 음식일리 없는 독특한 향 때문에 나는 주위를 살피기 시작했다. 도대체 어디서 나는 냄새지?3칸 정도 앞 좌석에..
수 년의 무명생활 3 - 노력으로 안되는 것도 있다 백수라면 백수고 프리랜서라면 프리랜서, 이도저도 아니라거나 아직 명칭이 없는 직업군을 가진 이런 생활에선 일감이 몰릴때 확 몰리고 없을땐 아예 없기 마련이다. 욕심을 좀 부려 모든 일거리에 대해 승낙하고 싶었지만 그러지않기로 했다.회사를 그만두고 블로그를 대대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블로그 제목에 이름을 넣은 것이 아주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개인브랜드화에 이보다 더 좋은 상품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어린시절엔 특이한 이름 때문에 곤혹을 치르곤 했었는데(병원 같은데서 차트를 적을 때 이름을 말하면, 항상 두 세번은 반복해서 말해야만 제대로 적혔다) 지금은 독특한 이름 덕분에 사람들에게 쉽게 각인되고 차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여전히 검색 포털에 '남시언'..
수 년의 무명생활 2수 년은 참 긴 시간이었다. 나는 극심한 외로움을 겪으면서 공포영화도 못보는 주제에 귀신이라도 만나고 싶어질만큼 쓸쓸했다. 서른줄 친구들의 대화 주제는 항상 월급, 직장생활, 결혼, 연애, 정치, 자동차, 부동산, 적금 따위였다. 그런 것들은 나와 전혀 관계가 없었고, 내 귀에는 배부른 소리로밖에 들리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저 고개를 몇 번 끄덕이는 것 밖에 없었다. 내 무명생활은 끝이 보이지 않는 광활한 대지였다. 이 대지가 현실에 존재하는 내 땅이었다면 난 재벌이었겠지. 대한민국에서 20대 끝물 남자가 적금하나 없다는 사실을 떠들고 다니면 인간쓰레기를 증명하는 짓밖에 안되는 까닭에 돈과 관련된 얘기가 나올때면 침묵으로 일관했다. 꿈, 세계관, 창조적인 지식근..
수 년의 무명생활 1지옥 같았다.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글 따위를 쓰는게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내가 썼던 글이란건 내 안에서만 살아 숨쉬는 심장이었다. 인정해주는 사람 없는 지리멸렬한 시간들을 보냈다. 점점 더 사회로부터 격리된 구렁텅이로 빠져들어가는 듯 했다. 다른 사람들에게 나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인간이었거나 정신병자, 사회부적응자, Mr.거짓말쟁이였다. 나는 작가의 꿈을 꿨지만 작가가 아니었고 내가 쓴 글로는 한 푼도 벌 수 없었다. 내 일과의 마지막은 불꺼진 창가에 서서 초라한 눈으로 달을 바라보며 신세한탄을 하는 것이었다. 수 년의 시간을 그렇게 보냈다. 세상은 왜 나를 알아주지 않는가? 왜 나는 인기와 명성을 얻지 못하는가? 기회란건 어쩜 이렇게 나를 피해가는가? 내가 원했던건 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