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가입자들만 가입할 수 있는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이 이제 NH농협은행에서도 출시가 되어 가입하였습니다. 원래 3월말에 기업은행을 시작으로 우리은행 등에서 먼저 출시가 되었었고 개인적으로는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했던 은행에서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을 함께 가입해서 관리하는게 좋아보여서 NH농협은행의 출시도 기다리고 있었는데 감감무소식이더니 소리소문없이 출시해버렸네요. 이왕 가입하는거 최대치의 이자를 받아내기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가입해서 최대한 빨리 만기를 받는게 좋고요. 가입금액 최대치로 월 50만원에 계약기간은 최대치인 12개월을 잡으면 됩니다. 자유적금 상품이므로 최대치의 이자를 받기 위해서는 매월 1일에 자동이체 되도록 설정해야합니다. 4월에 가입 후 5월부터는 매월 1일에 자동이체 되도록 설정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하신분들이 기다리던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이 드디어 출시가 되었네요. 당초 계획상으로는 4월에 출시 예정이라고 했었는데 현재 IBS기업은행에서 먼저 선제적으로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을 발표했고요. 우리은행도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이 나와있는 모양입니다. 제가 가입한 농협은 언제되는지... 아직 나온게 없네요. 내용이 안밝혀져 있어서 궁금했었던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이 이제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데요. 내용 살펴보고 과연 이득이 되는지, 얼마나 이득인지를 따져보고 재테크 전략 세워보겠습니다. 청년도약플러스적금 내용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가입자만 가입 가능한 적금 상품 기본이율 4% + 우대이율 1% = 5% 적금 상품 (세전) 가입기간 1년 (12개월) 최소 1천원 이상 + 월 50만원 이..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주기를 매월 1일로 변경하였습니다. 저는 농협에서 가입이 돼 있어서 농협 앱으로 변경 진행하였는데, 농협이 아닌분들도 아마 해당 앱에서 자동이체 변경이 손쉽게 진행이 될걸로 생각됩니다. 청년도약계좌에서 적금을 넣을 때 자동이체 일자를 매월 1일로 설정하는 이유는 이자를 최대치로 받기 위함입니다. 자유적금 상품은 기본적으로 일할로 이자를 계산하기 때문에 매월 1일로 자동이체를 설정하는게 가장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재테크 방법인데요. 청년도약계좌가 나오기전에 진행이 되었던 청년희망적금에서도 똑같은 전략이 적용이 되어서, 똑같은 돈을 적금 넣는다고 하더라도 자동이체 날짜에 따라서 최종 이자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청년희망적금에서도 자동이체를 매월 1일로 설정해서 2년간 ..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것 같은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연계가입으로 신청 완료하였습니다. 2월 22일부터가 신청기간이라고 하던데요.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2월 22일이었기 때문에 오늘 만기되는날에 맞춰서 곧바로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하면서 연계가입으로 가입 진행 완료하였습니다. 그동안 이 청년도약계좌 활용 및 재테크 전략 관련해가지고 블로그에도 여러번 글을 썼었는데, 그동안 고민하고 연구하고... 막 이렇게 했었던 일들이 드디어 마무리가 된 것 같아서 속이 다 시원한 느낌이네요. 오늘 글은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연계가입 신청 완료한 실제 경험 및 후기입니다. 자동이체 날짜 계산으로 조금 복잡한 부분이 있어서 이 내용을 집중적으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일 먼저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되어 만기해지..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분들에게 주어지는 기회로 이번에 청년도약계좌 연계 일시납입 신청기간이 도래했습니다. 지금 신청하면 만기 후 바로 청년도약계좌 개설 후 일시납입이 가능합니다. 이때 여러가지 전략이 있는데, 가장 이익을 크게 볼 수 있는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에 원금을 최대치로 늘려야한다 월 납입액은 70만원으로 설정한다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금상품이므로 월 납입액을 최대로 설정한다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 계좌이므로 최대한의 이자를 받아내는게 유리하다 원금과 이자, 그리고 정부기여금을 최대치로 뽑아내려면 원금을 크게 늘리는게 가장 좋다 1260만원 일시납입 + 70만원 월납입액 설정한다 18개월간 적금 공백이 발생하지만, 4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플러스적금'을 기다렸다가..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일정을 체크하면서 일정 준비 및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 전환을 할 때 일정 준비 및 재테크 전략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우리는 이전 분석 글들을 통해서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하는게 유리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습니다. 하지만 연령별로, 케이스별로 다를 수 있어서 꼭 이전 글을 읽고 이번 글을 읽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자산이나 나이, 직장 등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NH농협은행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 신청하기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어느덧 다가오고 있네요. 처음 가입할 때 2년 조금 넘게 유지해야하는 계좌라서 2년 언제가나...하고 있었는데 잊고 살다보니 2년도 금방 지나가서 벌써 다음달이면 청년 namsieon.com 청년희망적금..
오늘 글에서는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 환승을 하려고 할 때 실행 전략으로서 재테크 방향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 2024년 2월이 되면서 청년희망적금 만기를 맞는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여기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할 수 있는 환승 제도가 나오게 되면서 여러가지 고민이 있게 되는 상황인데 일단 제일 먼저 큰 카테고리에서 생각해보면 크게 두 가지의 고민이 발생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자 청년도약계좌 환승할 때 고민거리 청년희망적금 만기 자금을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하는게 좋은걸까?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한다고 하면, 얼마를 하는게 가장 유리할까? 입니다. 구체적으로 얼마까지 일시납입 하면서 재테크 전략을 펼치는게 유리할지는 다음 글에서 상세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오늘 글에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어느덧 다가오고 있네요. 처음 가입할 때 2년 조금 넘게 유지해야하는 계좌라서 2년 언제가나...하고 있었는데 잊고 살다보니 2년도 금방 지나가서 벌써 다음달이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정부에서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대상자를 대상으로 청년도약계좌로 이전할 수 있는 연계가입을 내놓았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청년도약계좌도 기본 5년 유지였었는데, "5년이 너무 길다"라는 의견을 반영해서인지 3년만 유지해도 비과세를 적용해준다고 해서 조건이 완화가 되었습니다. 아마 청년희망적금 2월에 만기되시는분들의 경우 저처럼 청년희망적금 가입한 은행(저는 NH농협은행)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알림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