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미국주식 250만원 공제를 받기 위해서 주식을 일부 매도하였습니다. 거의 매년하는 일이긴 한데요. 이번에도 양도소득 250만원을 약간 초과하게 매도해서 나중에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대행신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250만원보다 조금 초과하게 매도하려고 했고 이렇게 2024년 12월 중순에 미국주식을 매도하였습니다.현재 증권사 2곳을 쓰고 있기 때문에 양도세 계산은 증권사 2곳을 모두 합산해서 계산해야합니다. 이익을 본 종목과 손실을 보고 있는 종목을 적당히 섞어서 매도하였습니다.키움증권에서 양도세 가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 메뉴에서 [양도세 가계산(전계좌)]를 선택하고 2024년을 선택하면 2024년분 양도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경우 양도세 가계산을 할 ..
해외주식 투자자분들의 경우, 미국주식의 경우 양도세 22%를 감당해야합니다. 이때 국세 및 지방세를 모두 납부해야하는데, 증권사와 연계된 신고대행서비스를 이용하면 업무대행해주는 세무법인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 키움증권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하는법(2024년 최신)매년 3월말~4월 중순까지는 해외주식 투자하시는분들에게 중요한, 해외주식 거래를 통한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기간입니다. 미국주식의 경우 매년 250만원까지 비과세 한도 혜택을 주기 때문namsieon.com그런데 이때 문제가 계산식에 있습니다. 국세청에서는 기본적으로 선입선출을 기초로 보고, 받고 있어서 현재 많은 증권사에서 선입선출 방식을 씁니다.적립식 장기투자, 특히 지수추종 ETF 등을 꾸준히 매수하..
NH투자증권 나무증권 앱에서 퇴직연금 IRP 계좌에서 TDF ETF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퇴직연금 IRP계좌 안전자산 30%를 공격투자 KODEX TDF 2050으로 투자하기퇴직연금 IRP 계좌에서는 안전자산을 30% 이상 가져가도록 강제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위험자산 70%를 맞추고 안전자산을 30%맞추는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개인형 IRP 계좌에서 투자를 할 때,namsieon.comIRP 계좌에서 안전자산 30% 항목에서 TDF ETF를 매수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위 글을 참고해주세요.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IRP계좌에서 TDF ETF 2050 매수 방법퇴직연금 IRP 계좌에서는 안전자산 30%룰이 있어서 공격적인 장기투자는 조금 어려운데요. 보통 펀드나 예금으로 많이들 운용하시는걸로 알고 있..
매년 3월말~4월 중순까지는 해외주식 투자하시는분들에게 중요한, 해외주식 거래를 통한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기간입니다. 미국주식의 경우 매년 250만원까지 비과세 한도 혜택을 주기 때문에 이걸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보통 연말 정도에 250만원어치 주식을 매도하고, 다시 재매수하는식으로해서 비과세 한도를 빼먹는게 일반적인 투자 재테크 방식인데요.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 기간이 대체로 3월 말 ~ 4월 중순 정도에 속해있어서, 깜빡하지 않기 위해서 일정관리 프로그램이나 캘린더에 매년 반복 일정으로 4월 1일에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청하기 등록해두면 편리합니다. 1개의 증권사에서 미국주식에 투자할 경우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이 조금 쉽지만, 2개 이상의 증권사를 이용해서 미국주식 등에 투자할 경우 양도..
미국주식에 투자하시는분들은 매년 양도차익으로 250만원의 기본공제를 줍니다. 이걸 못 챙겨 먹고 나중에 한꺼번에 매도할 경우 세금 손실이 크게 발생해서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매년 연말쯤에는 250만원어치의 양도차익을 실현해야합니다. 수익을 확정짓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목표는 위 그림에서 나오는 양도세액이 0원이 나오게 하는 것입니다. 아주 조금은 나와도 저는 크게 관계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은 있습니다. 소액이라면 너무 스트레스 받을 필요는 없을 것 같긴 해요. 저같은 경우 작년인 2022년에 양도차익 계산을 조금 잘못해가지고 소액이지만 양도차익이 250만원을 넘어버려서 일부 금액에 대한 양도차익 22%를 납부했었습니다. 어차피 수익에서 22%이므로 돈이 아깝다는 느낌보다는 뭔가 계산을 잘못하고 실수..
저는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을 달러로 받아서 관리합니다. 과거에는 달러 수익금을 매번 원화로 출금했었던적이 있었는데요. 지금은 그렇게 하지않고 달러를 달러 그대로 받아서 사용하는쪽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로 티스토리 블로그나 유튜브 수익금으로 받게 되는데, 둘 모두 구글 애드센스이므로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티스토리 수익금과 유튜브 수익금이 별도로 따로 지급되더군요.) 총 3단계를 거쳐야합니다. 일단 구글애드센스를 받을 국내 외화계좌가 있어야합니다. (저는 우리은행 외화계좌 이용 중) 그리고 국내 외화계좌에서 증권사로 수수료없이 이체가 가능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증권사에서 실제 사용하는 증권사로 수수료없이 이체가 가능해야합니다. 이렇게 ..
최근에 NH투자증권에서 나무 앱으로 가입이 가능한 발행어음 투자 상품이 있었는데 이율이 꽤 괜찮게 나왔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CMA의 경우 원화 기준 세전 2.3% 이자를 지급하는데 이것은 예전에 토스 파킹통장 연이자 2%보다 조금 더 높은 수치이다. 만약 1년형 적금처럼 가입할 경우 세전 4.15%를 주기 때문에 단기 자금을 운용하려고할 때 괜찮은 상품처럼 보였다. 그래서 가입을 진행하였다. 기존에 NH투자증권에서 국내주식에 투자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계좌는 있었는데 기존에는 RP형이라서 이걸 CMA 발행어음형으로 바꿔주어야한다. 만약 그렇게 하기 싫을 경우에는 계좌를 하나 더 만들면 되는데 이때 CMA 발행어음형으로 개설하면 된다. 가입할 때 약관도 읽어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핵심은 원금비보장형 상..
현재 NH투자증권 나무에서 투자해두었던 미국주식들을 일부 정리하고 예수금을 받은 다음 키움증권으로 갈아타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환전할 때 환율의 아쉬움과 미국주식 관리의 편의성 등을 위해서입니다. 수익금이 어느정도 있다보니까 당장 처리하진 않고 몇 년간의 기간을 두고 느긋하게 조금씩 옮기려고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얼핏 생각했을 때에, NH투자증권에서 키움증권으로 달러를 이체하려면 아무래도 수수료가 조금 들어가지 않을까 싶었는데, 직접 해본 결과 그렇지 않고 방법을 잘 사용하면 수수료없이 이체가 가능해서 한결 부담을 덜어낼 수 있었습니다. NH투자증권에서 곧바로 키움증권으로 이체는 할 수 없습니다. 중간에 계좌를 하나 거쳐야합니다. 그러니까 NH투자증권 → 외화계좌 → 키움증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