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글이 실린 매거진 17년 봄호가 나왔어요 안동문화필은 안동축제관광재단에서 발행하는 월간 웹진이 있고 같은 이름을 가진 분기별 인쇄책자로 나오는 계간지가 있습니다. 구독자는 약 1만명 정도. 웹진은 뉴스레터 형태로 월 1회 발송되고, 계간지는 우편을 통해 발송되는데요. 저는 월간 웹진에 월 1회, 그리고 계간지에 고정으로 안동 맛집에 대한 소개글을 쓰고 있습니다. 제가 고정으로 기고하는 잡지인 봄호가 나왔습니다. 오후에는 이걸 읽으면서 시간을 보냈는데요. 봄호에 걸맞게 꽃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 눈이 즐거운 계간지입니다. 얇고 담백한 잡지이지만 겉표지 디자인에는 상당히 신경쓰는 잡지이기도 합니다. 매번 볼 때 마다 서정적이고 아늑한 느낌의 표지로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담당자분께 물어보니 표지 디자인에 신..
2016 안동 월영공원 철쭉의 향연 매년 4월말 ~ 5월초가 되면 안동 월영교 인근은 철쭉 천국으로 바뀐다. 월영교는 안동에서 가장 유명한 스팟 중 한 곳이라 1년 365일내내 여행객과 안동 시민이 많지만, 월영교 바로 옆에 있는 월영공원은 그렇지가 않다. 고작해야 봄이나 가을 정도에 아름다운 꽃이나 단풍을 보러 약간의 발길만 닿는 곳이다. 월영공원은 월영교를 앞에두고 왼쪽에 위치해있고 바로 옆에 붙어있다고 봐도 무방한데, 월영교 주차장에서 봤을 때 안동물문화관 건물에 가려져 보이지가 않으므로 사람들은 그냥 월영교만 휙~ 둘러보고 되돌아갈 뿐이라 안타깝다.월영교와 월영정을 앞에두고 곱게 피어난 철쭉들의 향연을 보고싶다면 시간을 내서 월영공원으로 가보자. 여러가지 색깔의 예쁜 철쭉들이 한가득 피어난 모습을..
안동 문화관광단지 유교랜드 탐방 유교랜드는 안동문화관광단지의 핵심시설로서 한국정신 문화의 뿌리인 유교문화를 스토리텔링화한 테마파크형 체험 전시센터다. 경북 안동 문화관광단지에 위치. 멋진 외관을 가진 유교랜드. 같은 관광단지 내에 있는 온뜨레피움 등과 함께 둘러보면 더욱 좋다. 유교랜드에서는 종종 할인 행사를 한다. 기존 금액이 꽤 높게 책정되어 있다보니 할인된 금액으로 즐길 수 있을 때 가면 이득이다. 현수막이나 유교랜드 홈페이지를 꼭 참고하자. 유교랜드 입구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시안내 시스템과 관련한 안내가 있다. 또한 유교랜드 내에서 할 수 있는 스탬프 투어도 마련되어 있으니 놓치지말자. 스탬프 투어는 유교랜드를 200% 즐기는 비법이다. 입장권을 끊고 유교랜드로 들어간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 ..
안동 명소, 백운정유원지 개호송 숲 일원 안동에 있는 백운정과 백운정 앞에 있는 개호송 숲 일원은 뛰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경승지다. 안동 사람들이 잘 모르는 명소이기도 하다. 아는 사람들만 찾는 한적한 동네. 한국의 대표적 씨족 촌락인 내앞마을과 개호송, 강 건너편의 백운정이 어우러져 있는 장소. 명승 제26호로 안동과 반변천의 숨겨진 스팟. 찾는 이 드물어 조용하고 한적한 게 장점이다. 여름이나 겨울에는 캠핑 마니아들이 찾는 캠핑장이 되기도 하는데 다른 캠핑장과 비교해봐도 풍경이 손색없다.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역사적 가치가 큰 명승지이니 주변을 더럽히지 말고 아끼고 보호하는게 필요하다. 다행스럽게도 많이 알려지지않아 현재까지는 잘 보존되고 있다. 옛 선조들이 우리를 위해 물려준 멋진 풍경을 우리도 후손..
백 번 설교보다 나은 동화 한 편. 안동 권정생동화나라(권정생어린이문학관) 강아지똥, 엄마까투리, 몽실언니 등 어린이들의 동화 작가로 유명한 권정생 선생은 안동에서 사셨던 분이다. 한평생을 어린이들과 동화 창작에 쏟으신 권정생 선생님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안동에 있는 권정생 동화 나라. 권정생 어린이문학관으로 불리기도 하는 곳. 안동 시내와는 꽤 떨어진 지리적 위치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꼭 한번 정도는 가볼만하다.권정생 동화 나라는 안동 일직면의 일직남부초등학교에 자리잡았다. 일직 남부초등학교가 2009년 3월 1일 폐교되면서 그 자리에 동화 나라가 생긴 것이다. 운동장에는 여러 가지 구조물이 있어 사진을 찍기에도 좋고 구경을 하는데도 전혀 문제가 없다. 고즈넉하고 조용한 ..
안동 조탑리 권정생 생가 나는 그를 ‘비운의 천재 작가'라고 부르지만 세상은 그를 '아동문학가'로 부른다. 그의 이름은 권정생. 강아지똥, 몽실언니, 엄마까투리 등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화를 다작한 동화작가이자 평생을 불우한 환경에서 지낸 한 노인이기도 하다. 그의 동화는 매우 차분하고 서정적이다. 그래서 좀 더 감동이 있고 독자의 심금을 울린다. 그가 삶에서 겪었던 풍파와 생각들이 고스란히 반영된 이 동화들은 엄마들에겐 눈물을, 어린이들에겐 꿈과 희망을 심어준다. 아동문학가 권정생 선생은 2007년까지 이곳에서 살았다. 가장 유명한 책은 강아지똥과 몽실언니인데, 경상북도와 안동시, 그리고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는 그의 작품 '엄마까투리'를 모티브로 한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EBS를 통해 방영중..
안동 경북도청 인근 산책하기 좋은 호민저수지 우연하게 방문하게 된 경북도청 인근 호민저수지. 최근에 지어진 것인지 시설이 깔끔하고 깨끗했다. 도청 근처에는 여러개의 저수지가 있는데 도청 바로 옆에도 있고, 조금 벗어난 곳에도 있다. 많은 저수지 중에서 바로 이 곳, 호민저수지가 특히 풍경이 수려하고 아름답다. 호민저수지의 입구. 도청에서 차로 10여분 달리면 도착할 수 있는 곳이다. 매년 통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저수지 둘레에는 가볍게 산책할 수 있는 산책로와 함께 벤치, 그리고 정자가 있어서 휴식하기에 좋다. 저수지다보니 강한 바람이 세차게 불어오는 곳이다. 겨울에 방문한다면 옷차림에 신경써야한다. 호민저수지 입간판. 무슨 이유에서인지 낡았다. 보수를 좀 해주면 좋겠다. 저수지 위치에서 경북..
[기획 취재]52년 만에 고향을 찾은 국보 하회탈, 안동민속박물관 기획전시 이 글은 컬처라인 문화포커스 2016년 하반기호 기고문 입니다. 내 또래 아이들은 안동민속박물관 앞 잔디밭을 기억할 것이다. 안동의 국민학생이라면 누구나 소풍을 갔던 장소니까. 요즘 초등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과 유투브를 보며 시간을 보낼 때, 우리는 그 곳에서 수건돌리기나 보물찾기 따위를 하며 하루를 보냈다. 단 한번도 보물을 찾은적은 없지만, 박물관을 주변을 뛰어다니는건 즐거웠다. 서른줄 청년도 아련한 추억의 장소로 삼는 안동민속박물관은 1992년 6월 26일에 개관했다. 경북 북부지역을 대표하는 가장 오래된 공립박물관 중 하나다. 안동문화권의 민속문화를 조사·연구·보존·전시하고, 시민들과 여행객들에게 관련 정보와 민속문..